김범수 카카오 전 이사회 의장이 2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주가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출석하고 있다.

카카오가 공동체 경영 회의를 열고 경영 체계를 쇄신하기 위한 방향성을 논의했다. 사법리스크로 야기된 최고 비상 단계를 타개하고자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수수료 개편 논의를 착수한 것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분식회계 혐의를 감리하기로 했다.

6일 카카오는 김범수 센터장이 주재하는 두 번째 비상경영회의를 카카오 본상에서 진행했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 이진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등이 참석했다.

경영진은 경영 체계 자체를 일신하기 위한 변화의 방향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주 열린 비상 경영회의의 연장선이다. 사법 리스크가 발생한 원인을 강도 높게 조사하고 준법 감시를 위해 향후 외부통제를 받아들이는 방안을 함께 논의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준법과 신뢰 위원회(이하 위원회)를 출범키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위원회는 카카오와 독립된 외부 조직으로 설립한다. 카카오 관계사의 주요 위험 요인 선정 및 준법감시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단계에 관여한다. 과도한 관계사 상장, 공정거래법 위반, 시장 독과점, 이용자 이익 저해, 최고 경영진의 준법 의무 위반에 대한 감시 통제 등에 대한 관리 감독과 능동적 조사 권한을 갖는다. 위원장으로 김소영 전 대법관을 위촉했으며 추가 외부 인사 영입 등 조직을 갖춰 연내 공식 출범한다.

계열사 대표에 대한 인사가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 이진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문태식 카카오VX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조계현 카카오게임즈 대표 등이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서다.

카카오의 컨트롤타워였던 CA협의체 재편도 점쳐진다. 카카오의 사업 확장에 비해 컨트롤타워가 힘을 쓰지 못해 한계에 부딪혔다는 분석이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이 6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대회실에서 열린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수수료 개편 논의에 착수한 것과 무관하게 무관용 원칙으로 감리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6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대회실에서 열린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금감원은 카카오모빌리티) 불공정 거래 관련 제재 이슈와 화계 감리 관련 이슈를 현재 양쪽 다 진행하고 있다”며 “(카카오모빌리티 관련 가맹 택시 계약이) 경제적이고 합의한 실질이 맞는다면 왜 이제 와서 수수료 체계를 개편하겠다고 하는지 저도 의문이다”고 말했다.

현재 금감원은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사업을 회계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하나의 계약을 둘로 나눈 뒤 각각 별도 항목으로 계상해 분식회계를 했다는 혐의로 감리를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가맹택시 사업은 자회사 케이엠솔루션과 운수회사로 이뤄진 삼각구조이다. 운수회사가 운임 20%가량을 케이엠솔루션을 통해 카카오모빌리티에 수수료로 주면 카카오모빌리티가 운임 16~17%를 광고 노출과 데이터 제공 등 대가로 운수회사에 돌려준다. 금감원은 현 구조상 운임 3~4%만을 매출로 계산했어야 한다고 보는 반면 카카오모빌리티는 20% 전체를 자사 매출로 계상했다.

이 원장은 “법인 택시가 됐든 개인택시가 됐든 분리 체결 자율이 있었는지, 분리 체결을 단 한 건이라고 한 사례가 있는지, 다양한 업체에서 운영하는 수수료 부과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사례인지 등을 공론화 장에서 봐야 한다”며 “정보 이용료를 받는 사람의 매출에 (비례해서)부과하는 게 상식에 맞는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손지혜 기자 jh@etnews.com,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