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관계자는 27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등 복구에 나선 모습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북한군이 기존 파괴한 GP 상단 구조물을 만들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헤럴드경제=신대원·오상현 기자]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 사실상 파기 선언에 이어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등 복구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군 관계자는 2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선지역에서 우리군의 감시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한 뒤 “북한군이 파괴한 GP의 상단 구조물을 만들고 있는 모습이 관측됐다”며 “야간 열상감시장비로 찍어보니 야간에 경계근무를 서고 있는 것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군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북한군은 기존 파괴한 GP 상단에 목재로 감시소로 추정되는 구조물을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경계호를 만들고 무반동총으로 추정되는 장비를 GP 내로 이동시키는 장면도 포착됐다.

북한이 국방성을 내세워 9‧19 남북군사합의 사실상 파기를 선언한데 따라 후속 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 국방성은 지난 23일 발표한 성명에서 남측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일부 조항 효력정지 조치를 취하자 9·19 군사합의에 더 이상 구속되지 않겠다며 합의에 따라 지상, 해상, 공중에서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방성은 성명에서 “군사분계선(MDL) 지역에 보다 강력한 무력과 신형군사 장비들을 전진 배치할 것”이라고도 했다.

남북은 9·19 군사합의 체결 이듬해인 지난 2019년 1월 폭파 방식과 굴착기를 동원한 방식으로 각각 10여개의 GP를 철거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군 관계자는 북한의 정찰위성과 관련 “첩보를 고려할 때 위성체는 정상적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된다”며 “궤도를 계속 돌고 있다고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다만 “발사 후 대략 수개월 동안 자세와 영상품질, 보완 등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최종적인 성공 여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군 관계자는 27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등 복구에 나선 모습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북한군이 기존 파괴한 GP 내로 무반동총으로 추정되는 장비를 반입하는 모습. [국방부 제공]군사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