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피앤에스 공식 포스트입니다.
www.pnsdevelopment.com
지난 10월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추석 이후 경색된 주택시장 영향과 오피스텔 투자수요 둔화,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전세 기피현상 등으로 전월 대비 하락폭 확대, 월세가격은 계절적인 비수기에 접어들며 상승폭이 축소됐는데요.
피앤에스 공식 포스트가 전문가 칼럼인 <2023년 10월 '전국 오피스텔 가격 동향 part 1'>을 통해 최근 전국 오피스텔의 매매 · 전세 · 월세 · 규모별 가격 동향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참고로, 상기 콘텐츠는 한국부동산원(www.reb.or.kr)에서 발표한 ‘2023년 10월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2023년 10월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 동향’은?

1. 개황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고금리 지속, 특례보금자리론 축소 등으로 추석 이후 경색된 주택시장 영향과 오피스텔 투자수요 둔화로 하락폭이 확대(-0.10% → -0.13%)됐습니다.

2. 지역별 매매가격 동향
1) 수도권의 경우, 경기는 하락폭 축소되었으나, 서울과 인천은 하락폭이 확대되며 수도권 전체 하락폭은 확대(-0.06% → -0.08%)됐는데요.
서울은 주택수 산입 등 오피스텔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무산되며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0.01% → -0.07%)됐습니다.
인천은 아파트 공급 지속, 아파트 시장 침체 등으로 오피스텔 투자 수요 역시 약화되며 전월 대비 하락폭이 소폭 확대(-0.16% → -0.17%)됐습니다.
2) 지방의 경우, 광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부산, 대구, 대전, 울산, 세종)에서 하락폭이 확대되며 지방 전체적으로 하락폭이 확대(-0.24% → -0.32%)됐는데요.
대구는 주택과 비교하여 실거주 목적보다는 투자 목적으로 인식되는 오피스텔 특성상 금리, 구매심리 등 시장 여건 불확실성 확대로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0.16% → -0.36%)됐습니다.
대전은 전세 안정성 이슈로 전세금을 활용한 투자가 어려워진 바, 매매수요 역시 감소하며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0.16% → -0.32%)됐습니다.

2023년 10월 ‘전국 오피스텔 전세가격 동향’은?

1. 개황
전국 오피스텔 전세가격은 전반적인 오피스텔 시장 침체로 인한 매매가격 하락, 전세 기피현상 등으로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0.04% → -0.10%)됐습니다.

2. 지역별 전세가격 동향
1) 수도권의 경우, 서울과 경기는 하락 전환, 인천은 하락폭이 확대되며 수도권 전체적으로 전월 대비 보합에서 하락 전환(0.00% → -0.07%)됐는데요.
서울은 전세사기 여파로 전입신고,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물건만 계약되는 등 전월 대비 상승에서 하락 전환(0.02% → -0.04%)됐습니다.
경기는 전세가율이 낮은 물건 소진 이후 계절적 비수기 진입으로 인해 역전세 우려가 있는 고전세가율 매물이 적체되며 전월 대비 보합에서 하락 전환(0.00% → -0.07%)됐습니다.
2) 지방의 경우, 부산, 광주, 세종은 하락폭이 축소된 반면, 대구, 대전, 울산은 하락폭이 확대되며 전체적으로는 전월 대비 하락폭이 소폭 확대(-0.22% → -0.23%)됐는데요.
대전은 신규공급이 이어지는 유성구를 중심으로 수요가 주택 및 신축 오피스텔로 이동하며 하락폭이 확대(-0.12% → -0.34%)됐습니다.
울산은 추석 이후 주택을 비롯해 전반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전세가격 또한 하락하며 하락폭이 확대(-0.09% → -0.21%)됐습니다.

2023년 10월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 동향’은?

1. 개황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은 여름 성수기를 지나 현재 계절적 비수기인 영향으로 개학, 발령 관련 이사수요가 줄어들며 상승폭이 축소(0.09% → 0.05%)됐는데요.

2. 지역별 월세가격 동향
1)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 모두에서 상승폭이 축소되며 전월 대비 수도권 전체 상승폭은 축소(0.12% → 0.08%)됐는데요.
서울은 전세 대비 월세 선호 현상에도 불구하고, 계절적 영향 및 전세가 하락 등으로 전월 대비 상승폭이 축소(0.05% → 0.03%)됐습니다.
인천은 추석 이후의 관망세 확대, 한동안 상승한 월세가격에 대한 부담 등으로 전월 대비 상승세가 약화(0.11% → 0.03%)됐습니다.
2) 지방은 세종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지난달 대비 변동률이 하락하며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0.01% → -0.06%)됐는데요.
부산은 아파트로의 수요 이탈이 쉬운 대형 물건, 선호도가 낮은 노후 물건 중심으로 하락폭이 확대(-0.05% → -0.11%)됐습니다.
광주는 매매가격, 전세가격 모두 하락세인 영향으로 월세가격 또한 하방압력을 받으며 지난달 보합에서 하락 전환(0.00% → -0.01%)됐습니다.

2023년 10월 ‘전국 오피스텔 규모별 가격 동향’은?

전국 40㎡ 이하는 매매가격 0.12% 하락, 전세가격 0.12% 하락, 월세가격 0.06% 상승했고, 전국 40㎡ 초과 60㎡ 이하는 매매가격 0.14% 하락, 전세가격 0.06% 하락, 월세가격 0.02% 상승했는데요.
전국 60㎡ 초과 85㎡ 이하는 매매가격 0.17% 하락, 전세가격 0.05% 하락, 월세가격 0.05% 상승했고, 전국 85㎡ 초과는 매매가격 0.07% 하락, 전세가격 0.10% 하락, 월세가격 0.01% 하락했습니다.

피앤에스는 숫자가 아닌 사람을 남기는 회사입니다. 지금까지 전문가 칼럼인 <2023년 10월 '전국 오피스텔 가격 동향 part 1'>을 통해 최근 전국 오피스텔의 매매 · 전세 · 월세 · 규모별 가격 동향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지난 10월 전국 오피스텔 매매 · 전세 · 월세 · 규모별 가격 동향의 핵심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매매가격 동향
– 지난 10월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3% 하락(서울 0.07% 하락, 수도권 0.08% 하락, 지방 0.32% 하락)
• 전세가격 동향
– 지난 10월 전국 오피스텔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10% 하락(서울 0.04% 상승, 수도권 0.07% 하락, 지방 0.23% 하락)
• 월세가격 동향
– 지난 10월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은 전월 대비 0.05% 상승(서울 0.03%상승, 수도권 0.08% 상승, 지방 0.06% 하락)
이어지는 전문가 칼럼인 <2023년 10월 '전국 오피스텔 가격 동향 part 2'>를 통해 최근 전국 오피스텔의 지역별 기타 동향, 오피스텔 가격, 아파트 가격 동향과 비교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피앤에스 공식 홈페이지(www.pnsdevelopment.com)도 잊지 말고 방문해 주시기를 바라며,
피앤에스의 이야기는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쭈욱~~
- 2023년 11월 2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 전국 5개 지구 8만호 규모의 신규택지 후보지 공개
- ‘나 몰래 전입신고’ 원천 봉쇄를 위한 주민등록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시행 임박
- 2023년 11월 1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 임대차 계약 시, 공인중개사의 설명의무는 어디까지 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