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1만3천명 줄며 260.9만명
상용근로자 171.6만명, 가장 높아

기혼여성 10명 중 6명은 미성년 자녀와 동거하는 ‘워킹맘’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5∼54세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동거하는 여성의 고용률은 54.7%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p) 감소했다.
자녀 연령별로는 막내 자녀가 6세 이하(52.3%)에서 3.3%p, 7∼12세(62.6%)에서 1.7%p, 13∼17세(68.3%)에서 1.4%p 각각 올랐다.
워킹맘 규모 자체는 260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3000명 줄었다. 혼인 감소로 15∼54세 기혼여성이 794만3000명으로 작년보다 15만9000명 크게 감소했으나, ‘일하는 엄마’는 소폭 줄었다.
전체 15∼54세 기혼여성 취업자는 1만3000명 줄었다. 다만, 고용률(60.0%)은 2.2%p 올라 역대 가장 높았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79.9%)가 가장 많았고, 임시·일용근로자(20.1%)가 뒤를 이었다.
상용근로자 수(171만6000명)는 전반적인 고용 개선세에 힘입어 2만70000명 늘었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91만1000명(34.9%), 사무종사자 74만9000명(28.7%), 서비스 종사자 32만9000명(12.6%) 순 등으로 많았다.
자녀 동거 기혼 여성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5.7시간으로 0.1시간 늘었지만 36시간 미만을 유지했다.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은 134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8000명 감소했다.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작년 17.2%, 올해 17.0% 등으로 감소세다. 특히 30대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26.9%에 달했다.
경단녀들이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42.0%)가 가장 많았고 이어 결혼(26.2%), 임신·출산(23.0%), 자녀교육(4.4%), 가족 돌봄(4.3) 등 순이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단절 여성(108만1000명) 비율은 24.9%로 1년 전보다 0.4%p 내렸다.

- 티맵, 차종별 안전운전 순위 공개…국산 ‘니로’·수입차 ‘렉서스ES’ 1위
- 野 “과기부 소관 예산 정부안보다 8505억원 순증…예결위에 전달”
- 양주시청 최성조 팀장, 양주시 최초‘지방행정의 달인’선정
-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집행부, 의회 존중 및 행감의 중요성 인식해야”
- SSG 이숭용 감독 취임 “베테랑 존중, 새 얼굴 발굴에 주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