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과 부동산 위기가 겹치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 [AP 연합]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2월과 4월, 5월, 7월에 이어 24일에도 기준금리를 현 수준(3.5%)에서 묶을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상 최대폭인 ‘2%포인트’까지 벌어진 미국과의 금리 격차, 장중 1340원을 돌파한 원·달러 환율 상승세, 다시 불어나는 가계대출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를 올려도 이상할 것이 없다. 하지만 최근 중국발(發)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한은이 추가 인상을 단행하기 어려워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실제로 경제 전문가 대다수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과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져 우리나라의 하반기 경기 회복도 불투명한 가운데 한은이 소비와 투자 위축,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을 감수하면서까지 환율·물가·가계부채 등을 명분으로 금리를 올리기 어렵다는 논리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유가 상승과 원화 약세 등이 물가의 상방 리스크(위험)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국내 경기 회복이 아직 가시화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중국발 금융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경기 하방 위험도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우리나라 실물 경제 상황이 나쁘고 중국 시장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환율이나 가계부채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의 효과는 단기에 그쳐 실익이 없는 반면 부작용은 더 클 것”이라며 “금리를 올리면 부동산 PF에서 문제가 터지거나 내수와 수출이 다 죽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동결을 점친 전문가들도 ▷한·미 금리차 ▷원화 가치 하락 ▷가계대출 증가 ▷여전히 불안한 물가 등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요인이라는 점은 모두 인정했다. 다만 경기 우려가 더 크기 때문에 동결 수준에서 절충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이상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조사팀장은 “최근 중국 경제 불안과 실물경제 침체 심화 등을 고려해 (금통위가)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물가와 가계부채 관리 측면에서는 기준금리를 베이비스텝(0.25%p 인상) 정도로 잡아주는 것이 맞다”고 했다.

한은은 24일 기준금리뿐 아니라 수정 경제 전망도 내놓는다. 상당수 전문가는 한은이 중국 경기 리스크 등을 반영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4%에서 0.1∼0.2%포인트 정도 낮출 것으로 예상했다.

이성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국 부동산 불안이 커지고 중국 내수 시장이 얼어붙는다면 대(對)중국 수출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이 경우 한은도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 실장도 “중국 리스크가 간단하지 않고 심상치 않기 때문에, 한은이 0.1∼0.2%포인트 성장률 눈높이를 낮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공공요금이나 국제 곡물 가격 상승 여지가 있지만, 중국 경기 침체로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 가능성도 병존하기 때문에 한은이 전망치를 현 수준(3.5%)에서 유지할 것이라는 견해가 많은 편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