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 등 조합원들이 지난달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진행하는 모습. [뉴시스]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세계 최대 철강 시장인 중국의 건설경기 침체와 고유가, 유럽연합(EU)의 환경 규제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3분기 아쉬운 성적을 거둔 포스코의 부담이 가중되는 분위기다. 포스코노동조합이 시행한 쟁의행위 찬반 투표가 70%가 넘는 찬성률로 가결되면서 ‘파업 리스크’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다.

30일 포스코노조에 따르면 28일 오전 6시부터 29일 오후 8시까지 이틀간 모바일 투표로 진행된 2023년 쟁의행위 찬반투표에는 총 1만1145명 가운데 1만756명(96.51%)이 참여했다. 그 결과 찬성 8367명(77.79%) 반대 2389명(22.21%)으로 쟁의행위가 가결됐다. 쟁의행위안이 가결된 건 지난 1968년 창사 이후 55년 만에 처음이다.

노사는 앞서 지난 5월부터 25차례에 걸쳐 협상을 진행했다. 그러나 노사는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올해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성과 인센티브(PI) 제도 신설 ▷중식비 인상 ▷하계휴가 및 휴가비 신설 등을 제시했다.

반면 회사 측은 ▷기본임금 평균 15만원 인상(공통 인상률 8만원 포함) ▷주식 400만원 한도에서 1대1 매칭 지급 ▷중식 무료 제공(중식비 12만원은 기본임금에 추가) ▷70% 수준의 정년퇴직자 재채용 등을 제안했다.

지난해 태풍 피해로 막대한 손해를 입었던 만큼 노조의 요구를 전부 수용하기 어렵다는 게 포스코 측의 설명이다. 앞서 포스코 노조는 지난 10일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단체교섭 조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포스코 측은 “중노위 조정회의가 30일 진행되는 만큼 원만한 타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날 중노위 조정 절차에서 회사 측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총파업은 피할 수 없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2후판공장에서 후판 제품이 생산되는 모습. [포스코 제공]

창사 이후 55년 만에 총파업이라는 전례 없는 위기 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포스코의 4분기 실적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앞서 포스코는 중국 정부의 미진한 경기부양책 효과와 비용 부담 등으로 3분기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앞서 지난 24일 포스코홀딩스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1조196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냉천 범람으로 인한 기저 효과로 영업이익은 작년 대비 33.3% 증가했지만, 전 분기와 비교하면 영업이익(7.7%↓)과 순이익(25.0%) 모두 뒷걸음질 쳤다.

회사 측은 “세계적인 철강 시황 부진에 따라 제품 생산과 판매가 감소하고, 판매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포스코의 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4분기 전망도 밝지만은 않다. 엄기천 포스코 마케팅전략실장은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 당시 “올해 철강 업황을 상저하고로 예상했는데 2분기에 일시적 상승세를 보이다 3분기에 약세로 전환했다. 4분기에도 어려운 업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후방 산업인 자동차·조선업계 납기 지연으로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포스코 노사가 ‘협정근로자(단체 협약에 따라 기업의 정상적인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작업을 감당하기 위해 쟁의 행위에 참가하지 않는 근로자)’를 두고 있는 만큼 공장 가동 자체가 멈추지는 않겠지만, 업계에선 어느 수준 이상의 강판 생산량 감소는 불가피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학동 포스코 대표이사 부회장도 지난달 전 임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깊이 있게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목표를 정해 놓은 것처럼 빠르게 진행되는 임단협 흐름에 대해 깊은 우려의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포스코 고객사가 국내 1000여개, 해외 2400여개에 달한다. (파업으로 인해) 공급에 차질을 빚을 경우 계약 종료 제품과 납기 지연 제품이 많아 막대한 페널티를 맞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