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오픈식에서 인사말을 하는 최수연(위쪽) 네이버 대표와 ‘각 세종’ 서버실 모습 [네이버 제공]

“앞으로 10년 그 이상의 미래를 내다보고 설계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은 네이버 뿐 아니라 모든 산업과 기술 혁신의 엔진이 될 것입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열린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 오픈식에서 이 같이 공언했다. 네이버와 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랩스 등 ‘팀네이버’의 역량을 한 데 모은 각 세종을 기반으로 향후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인공지능(AI)·클라우드 중심의 비즈니스 확대를 가속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팀 네이버는 6일 각 세종의 본격적인 가동을 알리며, 각 세종을 소개하는 오픈식을 개최했다.

각 세종은 2013년 오픈했던 첫 데이터센터 ‘각 춘천’에 이은 네이버의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다. 축구장 41개 크기인 29만4000㎡ 부지 위에 국내 최대 수준인 60만 유닛(Unit)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췄다. 수전 용량도 각 춘천의 6.75배인 최대 270㎿ 전력이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단일 기업이 가진 데이터센터로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 최대 규모 수준이다. 여기에 네이버가 지난 10년간 무중단·무사고·무재해로 각 춘천을 운영해온 노하우와 AI, 클라우드, 로봇, 자율주행 등의 첨단 기술 역량이 결집됐다.

각 세종은 현재 6분의 1만 문을 연 상태였다. 현재 약 10만 유닛의 서버를 수용 중이지만 총 3단계에 걸쳐 현재의 6배 규모로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1단계 투자비용만 6500억원 가량 쏟아 부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조원 단위의 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최근 소버린AI, 소버린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국가와 산업의 고객을 만나는데, 네이버의 AI 기술력 뿐 아니라 데이터센터의 규모와 안정적인 운영 역량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각 세종은 다양한 산업으로 뻗어 나가는 AI·클라우드 비즈니스의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상민 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통합 센터장은 이날 오픈식에서 각 세종의 글로벌 경쟁력에 대해 묻는 기자의 질문에 “저희 입으로 말씀드리긴 조심스럽지만, 각 춘천 10년의 노하우를 한 데 모은 각 세종은 감히 글로벌 톱3에 꼽히는 데이터센터라 말씀드리고 싶다”며 상당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실제로 이날 노 센터장의 인솔에 따라 살펴본 각 세종은 팀 네이버의 자신감이 허황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춘천과 마찬가지로 친환경·고효율 데이터센터를 표방하는 각 세종은 외부에서 부는 바람을 활용해 서버실의 기온을 21~25도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었다. 네이버가 자체 개발 공조 시스템인 ‘NAMU(Naver Air Membrane Unit)’ 설비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외기댐퍼 ▷에어필터 ▷멤브레인 ▷프리쿨링 ▷냉각 단계 등을 통해 적정한 온도로 낮춰 활용하고 있다. 서버실 폐열마저도 온수나 바닥 난방, 내부 도로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적용해 활용 중이라고 했다.

노 센터장은 “기존 각 춘천의 경우 U자 형태의 NAMU2 설비를 구축해 냉동기를 쓸 때 대비 73%의 에너지 효율을 이뤘지만, 각 세종은 일자형 NAMU3 설비를 구축한만큼 이보다 더 높은 에너지 효율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방문한 A1 GPU 서버실은 옆 사람과의 대화를 나누기 힘들 정도로 요란한 소음을 내는 서버들로 가득차 있었다. 아직 40%만 채운 상태라는 서버실은, 그럼에도 한 열에 24개씩 보이는 것만 수백개의 거대한 ‘서버 장벽’들이 서있었다. 노 센터장은 이 가운데 일부가 네이버의 초거대AI 하이퍼클로바X를 학습시키는 GPU 서버라고 귀띔했다. 서버실은 서늘한 공기가 맴돌았지만, 서버 장벽 사이를 지날 때엔 후끈한 열기가 느껴져, NAMU3의 기술력을 새삼 실감케 했다. 노 센터장은 “홀 전체에 찬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큰 케이블 등은 전부 천장으로 옮겨 더운 열기를 빨리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각 세종은 네이버랩스의 로봇자동화시스템 기술력도 한 자리에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1784(테크 컨버전스 빌딩인 네이버 신사옥)이기도 했다. 각 춘천의 경우 창고 내 서버들을 사람이 직접 운반하고 출납하고 이 과정에서 로봇은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지나지 않지만, 각 세종은 사람의 개입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자유롭게 공간을 누비며 최대 400㎏의 고중량 자산(서버)을 운반하는 ‘가로’와 키측정기처럼 생긴 3m 가량의 ‘세로’가 데이터센터 IT 창고의 핵심 자산인 서버를 관리했다. 특히 가로는 건물 전체 시스템및 서비스 인프라 등과 실시간으로 연동돼 엘리베이터 등도 오르내릴 수 있다고 네이버랩스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밖에 각 세종은 재해 등에 만발의 준비를 갖춘 점도 인상적이었다. 130여명이 상주하는 가운데 이날에만 20여명의 직원이 관제센터에서 각 세종의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었다. 노 센터장은 “원자력 발전소 수준의 건물에 적용하는 특등급의 내진 설계를 건물 구조체 뿐 아니라 서버랙 단위까지 전체 적용해 일본 후쿠시마 지진 강도에 해당하는 진도9.0, 규모 7.0 수준의 지진에도 버틸 수 있게 했다”면서 “화재나 갑작스러운 전력 공급 중단 등도 충분히 대비했다”고 말했다. 세종=박혜림 기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