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차 시대를 맞아 전기차의 보급,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정비업계가 생존 경쟁이라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서울 지역의 경우 카포스 서울 조합 소속 정비업소는 5년 전 2700개 업소에서 지금은 1700개로 급감한 상태다.

전기차는 구조와 기능상 내연기관 차량보다는 훨씬 적은 정비가 필요하다. 전기차는 엔진이 탑재되지 않지만, 정비업계는 지금까지 엔진 정비 수요가 50%를 넘기고 있는 상태다.

불황과 혼돈의 위기에 직면한 전국 3만 개 정비업소들은 11월 8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카포스 전국연합회 각 지역 대표자들이 집결하여 파업이냐, 폐업이냐 정비업계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주요 내용은 정비업계의 생존권 사수와 안전성 문제가 되는 전기차를 보조금 지급과 그동안 130만대 조기 폐차 무리한 정책에 대한 집회이다. 그날 결의문을 대통령실과 정부, 국회, 2050 탄소 중립 위원장에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경제적·안전한 정비 업소 선택법, 이것만 기억하자

이날 자동차시민연합은 자동차 정비업계 폐·파업의 불황 위기 외에도 경제적인 업소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자동차시민연합이 제안하는 정비업소 이용 선택법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조기 폐차나 자연 폐차하기 전 정비 무료 견적을 미리 받아보기 ▲최장 10년까지 신차 보증기간을 100% 활용하기 ▲특정 부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점을 찾아가기 ▲정비 후 30~90일의 A/S 기간이 있다는 것을 숙지하기 ▲싼 가격에 현혹되지 않기 ▲인터넷 사전 정보를 구하기 등이다.

이중 조기 폐차와 관련해선 “환경부가 실시하는 조기 폐차는 자연 폐차와는 달리 정상 여부 점검을 받아야 보조금 지급이 가능하다”라며 “(환경부가 실시하는 조기 폐차는) 2015년 이후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오염도가 꾸준히 감소하는 환경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기 폐차하기 전에 미리 정비업소에서 예상 견적서도 받을 수 있다”라며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보조금 여부와 경제성을 꼼꼼히 살펴본 뒤, 정비 후에는 정비 명세서를 반드시 받아 보관하라”라고도 덧붙였다. 문제 발생 시 피해구제를 받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비 후 AS기간과 관련해서는 “「자동차관리법」에는 정비업소에서 정비한 경우에는 점검·정비명세서를 소비자에게 교부해야 하며 일정 기간 무상으로 사후 관리를 하도록 의무화돼 있다”라며 “많은 소비자가 정비 후 정비명세서를 받지 않아 과잉 정비나 부실 정비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다. 정비 후 주행 거리에 따라 30~90일간 무상 보증수리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자동차시민연합 임기상 대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정부는 정비업계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지원과 운전자들은 불황일 때 정비업소를 이용하는 선택법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고기정 인턴 rhrlwjd031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