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우리은행
사진=우리은행

[데일리임팩트 김병주 기자] 알뜰폰(MVNO) 사업이 은행 부수업무에 포함되면서 은행권의 통신업 진출이 가능해진 가운데 알뜰폰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우리은행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진다.

전반적인 이자수익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알뜰폰 사업을 통한 비이자익 개선뿐 아니라 고객 락인(Lock-in)효과, 나아가 상생금융에도 긍정적 이미지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특히, 올해 조병규 행장을 중심으로 ‘연내 리딩뱅크 탈환’을 공언한 만큼 알뜰폰 사업이 금융을 넘어 비금융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우리은행, 나아가 타 은행들의 알뜰폰 시장 진출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기 힘들 것이란 냉정한 전망도 제기된다.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사업이 여전히 적자 상황을 면치 못하는 데다, 실질적인 가입자 확보를 포함한 전반적인 사업 전개와 확장 또한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2019년 리브엠 출범식에 참석한 윤종규 전  KB금융그룹 회장(왼쪽에서 세 번째) 및 관계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사진=구혜정 기자.
지난 2019년 리브엠 출범식에 참석한 윤종규 전  KB금융그룹 회장(왼쪽에서 세 번째) 및 관계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사진=구혜정 기자.

허들 사라진 알뜰폰, 은행권 新먹거리 될까

15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최근 알뜰폰 사업을 은행의 부수업무로 지정하면서, 일찌감치 알뜰폰 사업을 준비해 온 우리은행의 행보도 본격화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최근 금융위원회는 은행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돼 온 ‘은산분리(은행과 산업의 분리)’ 규제 완화의 일환으로 알뜰폰 사업의 은행 부수업무 지정을 추진해왔다.

이미 규제샌드박스 조치를 통해 알뜰폰 사업을 전개해온 KB국민은행의 이동통신서비스 ‘KB Liiv M(이하 KB리브엠)’이 첫 대상 사업자로 선정됐다. 금융위는 지난 5일 KB국민은행의 부수업무 신고서를 접수한데 이어, 지난 12일 알뜰폰 서비스의 은행 부수업무 지정을 공고했다.

지난 2019년 4월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 제1호로 지정된 KB리브엠은 서비스 시행 이후 △알뜰폰 사업자 최초의 5G 요금제 및 ‘워치 요금제 출시 △24시간 365일 고객센터(실시간 채팅상담 포함) 도입 △멤버십 혜택과 친구결합 할인 제공 △금융과 통신을 결합한 보이스피싱 예방 서비스 등을 선보이며 알뜰폰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다만, 실제 알뜰폰 사업의 은행 부수업무 지정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있었다. 지난 2019년 KB리브엠이 실제 사업을 시작할 때만 해도 금융위는 ‘알뜰폰 사업이 은행업무와 연관성이 없다’는 이유로 2년간 한시적으로 규제 특례를 적용, 사업 개시를 허가했다.

이어 지난 2021년 한 차례 추가 규제 특례 연장이 결정된 이후 기간이 종료된 지난해, 금융위는 은행의 알뜰폰 업무를 부수업무로 지정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기존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의 반발이 거셌지만, 윤석열 정부의 금산분리 규제 완화 기조와 맞물려 금융위가 전격적으로 알뜰폰 사업의 부수업무 지정을 결정한 것이다.

.조병규 우리은행장이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사진 = 우리은행 제공
.조병규 우리은행장이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사진 = 우리은행 제공

알뜰폰 시장 참전 노리는 우리銀

이같은 기류를 타고 주요 시중은행들도 KB국민은행과 마찬가지로 알뜰폰 사업 진출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한 곳이 바로 우리은행이다. 상당수 시중은행이 사업성과 은산분리 규제 등을 고려해 사실상 알뜰폰 시장 참전 의사를 접은 데 반해, 우리은행은 오히려 전담팀을 꾸리고 인력을 확충하는 등 공격적으로 알뜰폰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해부터 알뜰폰 사업 추진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알뜰폰 사업의 핵심인 ‘통신망’ 확보에도 나서면서 사실상 알뜰폰 사업 진출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자체 통신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알뜰폰 사업자들은 기존 이동통신사업자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와 통신망 임대를 전제로 한 계약이 필수다.

이미 우리은행은 이통3사에 망임대와 관련한 비용 등을 협의하기 위한 문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망 임대 비용을 포함해 전반적인 사업성 검토 작업이 진행 중인 것인데, 이에 연장선상에서 알뜰폰 사업과 관련한 인력 충원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같은 준비과정 속에 이번 KB국민은행의 KB리브엠이 은행 부수업무로 선정되면서 우리은행의 알뜰폰 사업 진출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KB리브엠의 은행 부수업무 지정으로 사실상 타 은행도 영업점에서 자체 알뜰폰을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일단 우리은행의 경우, 이번 알뜰폰 사업 진출이 공식화될 경우 은행 전반의 경쟁력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은행 부수업무 확보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우리은행은 최근 입찰‧계약‧발주 등의 공급망 관리 업무와 금융을 연계한 디지털 공급망 플랫폼 ‘원비즈플라자’의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이다. 원비즈플라자는 지난 2022년 부수업무로 당국의 승인을 받은 서비스로, 출시 1년 6개월 여만에 회원사 1만개를 돌파하는 등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같은 은행 부수업무 포트폴리오에 알뜰폰이 추가될 경우 또 다른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알뜰폰 가입을 위해서는 해당 금융사의 계좌를 반드시 개설해야 한다. ‘가성비’와 ‘가심비’를 중요시하는 MZ세대를 우리은행의 신규 알뜰폰 가입자로 유치할 경우, 은행 사업 부문에서도 잠재적 미래 고객을 확보하는 기대효과가 발생하는 셈이다. 이미 아이유, 라이즈(RIIZE)등 M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아이돌 가수를 모델로 활용해 MZ세대를 향한 적극적인 구애에 나서기도 했다.

또 올해 목표로 천명한 ‘리딩뱅크 탈환’ 달성의 핵심 과제인 ‘비이자익 확대’에도 알뜰폰 사업이 일정 부분 기여할 가능성도 높다. 지난해 우리은행의 연간 비이자익은 6740억원으로 전년(7390억원) 대비 8%가량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비이자이익 합계가 전년 대비 2%가량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전반적인 업권 내 흐름에 역행한 셈이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KB국민은행도 KB리브엠 사업을 통해 약 40만명의 가입자와 계좌를 확보하며 당장의 실적보다는 미래 동력을 얻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우리은행 또한 이같은 효과를 기대하고 알뜰폰 사업을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2세미나실에서 열린 ‘금융혁신과 금산분리’를 주제 긴급 토론회에서 박상인 서울대학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구혜정
지난해 4월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2세미나실에서 열린 ‘금융혁신과 금산분리’를 주제 긴급 토론회에서 박상인 서울대학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구혜정 기자.

이통시장 변화에 ‘실효성은 의문’

하지만 우리은행, 나아가 은행업권 전반에 있어 알뜰폰 사업 진출이 오히려 득보다는 실이 많을 수 있다는 지적도 일부 나오고 있다. 우리은행 자체의 문제라기 보단 은행의 알뜰폰 시장 진출이 가져올 실질적인 긍정적 효과가 크지 않다는 현실적인 이유에서다.

실제 KB리브엠도 서비스 출시 이후 오랜 기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출시 이후 3년여 만에 알뜰폰 업계 내 점유율 5위권에 안착했지만, 그 과정에서 도매가 이하의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하는 등 출혈 마케팅을 단행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뿐 아니라 알뜰폰 시장 진출에 나서는 다른 은행들 역시 이같은 적자 흐름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특히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로 단말기 보조금 제한이 사실상 해제된 것도 알뜰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존 이통 3사 대비 저렴한 요금제를 제공해야 하는 알뜰폰 사업자의 특성상, 기존 이통사보다 더 많은 단말기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이유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가입자가 늘어나면 자연스레 수익 발생도 기대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유의미한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사실상 알뜰폰 사업의 경우 실질적인 수익보다는, 통신서비스를 통해 파생되는 각종 고객 데이터 확보가 목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