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0A8CA3D000001532FE6E4E00011701_P4
서울의 한 도심 전경./연합뉴스

지난 2020~2022년 연평균 19억달러(한화 약 2조6315억원) 수준에 머물던 해외 자본의 국내 상업용 부동산 투자액이 지난해 23억달러, 우리돈 3조원 이상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코리아가 발간한 ‘2023년 국내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해외 자본의 국내 부동산 투자 규모는 총 23억달러(약 3조179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시기인 2015∼2019년의 5년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다. 코로나19가 정점을 이룬 2020∼2022년에는 연평균 19억달러 수준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5000억원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국내 물류 자산 시장에 대한 투자가 역대 최대수준인 16억달러를 기록하면서 ‘인바운드 투자'(해외 자본의 국내 투자) 회복세를 이끌었다.

국가별로 미국이 전체 투자액의 43%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투자했다. 싱가포르가 28%로 그 뒤를 이었다. 또 캐나다가 3위를 기록했다. 캐나다의 투자 증가는 투자회사 브룩필드가 인천의 대형 물류센터를 인수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미국, 캐나다 등 미주 자본이 전체 인바운드 투자의 66%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미주 자본의 4분의 3 이상은 국내 물류 자산 시장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급 과잉으로 국내 물류 시설의 공실률 상승으로, 국내에서는 물류 자산 시장에 대한 투자가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과 상반된 것이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올해도 신축 ‘A급’ 물류 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지속 관찰되고 동시에 투자자는 가격 조정을 기대하고 있다”며 “국내 부실 자산에 대한 매입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물류 자산 시장에 대한 투자는 늘었지만, 해외 자본의 국내 오피스 투자 규모는 전년보다 47% 감소했다.

국내 오피스의 가격 조정폭이 제한적인 데다 미주와 유럽에서의 오피스 시장 리스크가 확대되며 오피스 포트폴리오 축소 전략을 세웠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오피스 자산 투자에 대해 관망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물류 자산에 집중된 미국·캐나다와 달리 아시아계 자본은 국내 오피스·물류·호텔 등 다양한 부문에 투자했다. 싱가포르의 케펠자산운용은 한국은행 소공별관과 서울 종로구 씨티뱅크센터를 연달아 인수했다. 또 다른 싱가포르계 메이플트리·캐피탈랜드 등은 다수의 물류 자산을 매입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