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석 달째 상승 곡선

이상 저온에 농산물 물가 급등

국제 유가 불확실성 상존 여전

범부처 특별물가안전체계 가동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뉴시스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뉴시스

10월부터 물가가 다시 둔화할 것이라는 정부 예상과는 달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37(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소비자물가는 최근 3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는 가운데 오름폭도 점차 커지고 있다. 소비자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상승률은 8월 3.4%, 9월 3.7%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원인으로는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이 꼽힌다. 이상 저온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급등했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공파 하마스 간 사태로 석유류 가격 하락 폭이 축소하면서 물가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7.3% 상승했다. 채소류(5.3%)를 비롯한 농산물이 13.5% 오르면서 2021년 5월(14.9%)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6% 증가했다. 신선식품지수는 12.1% 올랐다. 특히 신선식품지수 중 신선과실은 1년 전보다 26.2% 상승했는데 이 중 사과(72.4%), 귤(16.2%) 등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6%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2% 증가했다. 전달 대비 각각 0.2%포인트(p), 0.1%p 하락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채소 성장기 등 이상 저온 현상과 기상 여건 등이 예년에 비해 좋지 않았다”라며 “기상 여건 때문에 수확량이 줄어 같은 달 기준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10월 물가상승률이 3.8%까지 상승하자 정부가 고수하던 ‘10월 안정론’이 무색해졌다. 특히 지난 7월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예상한 올해 물가 상승률 3.3% 달성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상황이다. 올해 10월까지 누적 물가 상승률은 3.7%로 정부가 예상했던 물가 경로를 벗어난 셈이다.

근원물가는 소폭 하락했지만 이 역시 정부 전망과는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최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근원물가를 두고 “계절적 요인이 완화되는 10월부터는 (물가가) 점차 다시 안정화하면서 2%대로 진입할 것”이라며 “근원물가가 하락하면서 전반적으로 물가는 서서히 안정 기조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빗나간 물가 예상에 정부도 긴급하게 대책을 내놨다. 모든 부처가 물가 안정을 정책 최우선 순위에 두는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즉시 가동하겠다는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국내 물가는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이상 저온 등으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 하락 속도가 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각 부처 차관이 물가안정책임관이 되어 소관품목 물가 안정은 스스로 책임진다는 각오로 철저히 살피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부처가 상시적으로 현장에 나가 물가 애로사항을 파악해 현장에서부터 즉각 조치할 것”이라며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체감도 높은 물가·민생 안정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