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서울 편입론’에서 시작된 ‘메가시티’ 논쟁이 연일 확산하고 있다. 내년 총선을 겨냥한 정책이라는 비판에도 집값 상승과 교통 문제 해소 기대감이 커지면서 김포는 물론 구리, 광명, 하남, 과천 등의 수도권을 넘어 부산, 광주 등까지 전국이 들썩이고 있다.

거대 도시를 의미하는 메가시티 기준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1980년대엔 유엔이 인구 800만명 이상의 도시를 메가시티로 정의한 바 있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인구 1000만명 이상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구를 기준으로 한 단순 행정구역을 넘어 핵심 도시와 주변 도시와의 집적연계가 이뤄지는 ‘대도시화’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발전 동력이 떨어지는 지방에서 도시연합을 추진하는 방안으로 메가시티를 거론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스페인 사회학자 마누엘 카스텔은 메가시티를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인구 1000만명 이상의 거대 도시로 정의하기도 했다.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국가는 물론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도시라는 의미다. 메가시티 외 메트로폴리스, 대도시권, 메갈로폴리스 등의 용어도 이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서울은 현재 25개 자치구와 426개 행정동에 940만명이 살고 있다. 1998년 1028만명으로 1000만명을 넘겼던 서울 인구는 1992년 109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하며 2016년 1000만명이 붕괴됐다. 서울 인구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나온 김포 편입론으로 서울의 외연이 대대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김포의 서울 편입론으로 무산된 부·울·경 메가시티 전략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는 부산, 울산, 경남을 하나로 묶어 제2의 수도권으로 만들겠다는 전략으로 민주당 소속 부·울·경 단체장들이 지난 정부에서 추진에 합의했던 구상이다. 하지만 지난 지방선거에서 현 여당 소속으로 단체장들이 바뀐 이후 경남, 울산이 반대 입장으로 돌아서면서 사실상 추진 동력을 잃었다. 이후 부산과 경남이 행정구역 통합을 검토 중이나 별다른 진척은 없는 상황이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