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팽(왼쪽) 산업연구원 반도체 전문연구원과 이시다 마사루 고쿠시칸대 객원교수가 7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린 ‘2023 한일협력 세미나’에서 한일 반도체 협력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민지 기자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공급망이 재편되는 가운데, 한일 양국이 반도체 원자재 분야와 파운드리 공정에서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은 7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 서울에서 ‘2023 한일협력 세미나’를 열고 한일 양국의 동반 성장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첫 번째 강연을 맡은 김양팽 산업연구원 반도체 전문연구원은 기존의 수직적인 한일 반도체 협력 모델을 강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수평적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일본 전기·전자 기업이 필요한 첨단 공정의 반도체는 한국의 첨단 파운드리 공정에서 생산하고, 레거시 공정은 일본의 파운드리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대량 물량 중심이기 때문에 소량 주문에서 다소 미흡한데, 일본에 남아있는 구형 파운드리 공정을 활용하면 이를 보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일본은 지난 30여년 간 반도체 산업이 쇄락하면서 파운드리 기술이 레거시(구형) 공정에 머물러있다.

또 “팹리스(반도체 설계) 분야에서는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첨단 반도체를 공동 개발할 수 있다”며 설계 및 제조 장비·소재 분야에서도 함께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지원할 수 있다고 봤다.

한국은 반도체 공급망에서 상당 부분을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반도체 제조 장비 공급의 24.3%, 반도체 소재의 40.1%, DAO(광개별소자 및 아날로그 반도체)의 27.9%를 일본이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현재 건설 중인 삼성 평택캠퍼스의 4·5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등을 통해 반도체 제조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이시다 마사루 고쿠시칸대 객원교수는 반도체 원재료 개발 분야에서의 한일협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시다 교수는 일본이 2010년 중국의 대(對)일본 수출 규제를 계기로, 희토류 수입의 90%를 차지하던 중국 의존도 60%까지 줄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은 중국에 대한 자원 의존도를 높여왔는데, 지정학적 리스크뿐 아니라 중국 원자재 원산지에 대한 강제노동 및 인권탄압 등 문제가 제기되면서 과도한 의존도가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시다 교수는 중국이 7월부터 갈륨 및 게르마늄 관련 품목에 대한 수출관리를 시작했다며, 향후 해당 분야에서 한일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중국산 갈륨·게르마늄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알루미늄 정련 부산물, 갈탄이나 아연 정련 부산물에서 정제 및 추출해야 하는데, 이는 가격이 비싸다. 따라서 공급망 재구축이 필요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반도체 제조 관련 분야에서 한일협력 관계가 이미 긴밀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시다 마사루 교수는 “삼성전자가 요코하마시에 반도체 후공정 개발거점과 시제품 라인을 신설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며 투자액은 300억~400억엔 규모”라며 “일본정부는 이 중 약 100억~150억엔을 지원할 것으로 보이지만, 올해 반도체 관련 예산(총 1조3000억엔)이 모두 소진돼 아직 검토 단계”라고 말했다. 김민지 기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