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감독.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겁이 났어요. 시나리오는 굉장히 좋았지만 아무래도 주인공인 군사반란 세력이 멋진 악당처럼 묘사되지 않을까 걱정했죠. 그래서 (제작사 측에) 자신 없다고 말했는데 받는 순간부터 그 세계에 빠져들었어요. 흥분 상태가 계속됐죠. 연출을 결심하는데 1년 정도 걸렸어요.”

오는 22일 개봉하는 영화 ‘서울의 봄’의 김성수 감독은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나 영화 연출의 제의를 받았을 때의 복잡한 심경을 이렇게 전했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무력을 총동원해 군을 불법적으로 장악한 군사 반란의 9시간을 그린 작품이다. 김 감독이 영화 ‘아수라’ 이후 7년 만에 내놓은 신작이다.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김 감독은 당시 한남동 자택에서 들은 총격 소리를 아직까지 생생히 기억한다. 그때 그의 나이는 19세였다. 총격 소리는 반란 세력이 정승화 계엄사령관을 체포하던 과정에서 발생한 것인데, 김 감독은 30대가 될 때까지 그 총격 소리의 구체적인 경위를 알 수 없었다.

“제 인생의 수수께끼였어요. 그날 무슨 일이 있었고, 권력이 어떻게 한 순간에 빼앗길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요. 나중에 30대 중반에 감독으로 데뷔할 무렵에서야 사건의 윤곽은 알았어요. 그렇지만 사람들의 내부 이야기는 안 나오더라고요. 사료들을 바탕으로 제 생각대로 그 사람들의 그날 밤을 재현해보고 싶었어요.”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는 하나회 중심으로 군사 반란을 주도하는 전두광(황정민 분)과 이를 진압하려는 이태신 수도경비사령관(정우성 분)의 대립이 중심축으로 전개된다. 이태신은 끝까지 반란 세력에 대항하는 몇 안 되는 군인 중 한 명으로 나온다. 영화는 실제 사건을 큰 틀로 뒀지만, 영화적인 허구가 가미됐다. 특히 이태신 캐릭터는 영화적 상상력이 꽤나 많은 비중으로 더해졌다.

“반란 세력을 역으로 비추는 거울로서 당시 신념을 지킨 진짜 군인들을 부각해 반란 세력이 얼마나 잘못했는지를 보여주고 싶었어요. 평소 삶의 원칙을 가지고 산 사람들은 일이 순식간에 벌어질 때 자기 판단으로 전 생애에 답한다고 생각해요. 그 분들은 그런 삶을 살았기 때문에 그런 판단을 한 거죠. 당시에 진짜 군인 분들이 있었다는 걸 지금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좋겠어요.”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는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하지만, 등장인물 이름은 실명 대신 가명을 썼다. 이는 연출의 자유를 위한 것이었다고 김 감독은 설명했다.

“처음엔 실명을 쓰는 게 맞다고 생각했는데, 그 사람의 이름을 조금 바꾸니 (연출이) 굉장히 자유로워졌어요. 그 사람이 제 영화에 들어오게 하는 게 아니라 그 시대 겪은 제가 상상의 나래를 펼쳐 저만의 인물을 만든거죠. 마지막에 반란 세력의 기념 사진으로 영화를 마무리한 것은 그 사진이 승리의 기록이 아닌, 부끄러운 기록이 되길 바랐기 때문이에요.”

영화는 누구나 결말을 다 아는 역사적인 사건을 그리지만, 2시간이 넘는 런닝타임 내내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실제 군사 반란을 옆에서 지켜보는 느낌이 들 정도다. 이 역시 김 감독의 연출 의도가 고스란히 담긴 것이다.

“관객들이 9시간의 소용돌이에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다만 너무 드라마틱하거나 다큐가 아닌 그 중간 어디에선가 긴장감을 항상 유지하면서 (사건을) 계속 옆에서 볼 수 있게 하려고 했죠. 소품이나 의상 하나 하나의 분위기도 실재감을 줘야 한다는 생각이 컸어요.”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에선 대형 군중 장면(몹씬)이 유난히 많이 나온다. 서울 세종로에서 반란군과 진압군의 대치가 극에 달하는 장면에선 약 150명이 출연한다. 반란군과 진압군의 개별 장면에서도 늘 여러 명이 함께 나온다. 배우들은 자유롭게 움직이고, 카메라는 정신없이 그들을 따라간다. 이는 사건을 직접 목격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다만 이러한 촬영 방식엔 배우들의 연기력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고 김 감독은 강조했다.

“이번 영화는 휘몰아치는 상황을 종군기자처럼 따라가듯이 찍었어요. 쫓아가면서 찍는 듯한 느낌을 살리기 위해 배우들이 계속 움직였죠. 연기 역량 뛰어난 분들이 인과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내면 관계의 드라마가 형성돼요. 이는 비정형화된 것이지만 생동감을 살려요. 여기서 힘 있는 영화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김 감독은 모든 배우들의 연기력을 높이 사면서도 특히 배우 황정민에 대해선 ‘연기의 마술사’라며 두 엄지를 치켜세웠다.

“황정민 씨처럼 색깔이 강하고 개성이 넘치는 배우는 뛰어난 악기가 제 악보를 연주하는 느낌을 줘요. 다른 곳에선 들을 수 없는, 그 악기에서만 나오는 연주죠. 정민 씨는 마음 안에 꺼지지 않는 뜨거운 난로가 있는 듯한 훌륭한 배우입니다.”

배우 정우성에 대해선 김 감독이 생각하던 이태신과 동일한 성품을 갖춘 배우라며 높이 평가했다. 김 감독과 정우성은 영화 ‘비트’, ‘무사’, ‘태양은 없다’, ‘아수라’에 이어 이번에 다섯 번째 호흡을 맞췄다.

“영화에 과묵하고 신념 있는 캐릭터가 있어야 뜨거운 탐욕 덩어리 같은 캐릭터와 크게 대비될 거라 생각했어요. 정우성 씨를 오랫동안 봐왔는데 딱 그런 사람이에요. 남한테 지적하지 않고 큰 소리 치지 않고 차분하죠. 그래서 우성 씨한테 원래의 성품이나 태도를 캐릭터에 반영하면 좋겠다고 주문했죠.”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김 감독은 관객들이 영화를 관람하고서 당시 사건을 제대로 살펴본다면 감독으로서 ‘원대한 희망’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봤다.

“제 인생의 수수께끼이자 숙제였던 사건을 영화로 풀어서 낸 작품이에요. 절 처음에 이끈 것이 이 사건에 대한 의구심이었듯이 관객 분들도 이 영화를 본 뒤 그런 호기심으로 역사책을 다시 펼쳐봤으면 좋겠습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