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머티리얼즈·블루엠텍 등 신고서 정정에 일정 연기

IPO 기간도 넉넉하게 잡아…돌발변수·보완작업 대비

ⓒ픽사베이 ⓒ픽사베이

금융당국이 제 2의 ‘파두 사태’를 막기 위해 기업공개(IPO) 허들을 높이면서 예비 상장사들과 상장 주관사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파두의 실적 쇼크 충격으로 공모 기업 실적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심사 기조가 강화되면서 IPO 절차를 늦추는 사례도 늘어날 전망이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의 현미경 심사가 이어지면서 예비 상장사들이 최근 실적을 담은 정정 증권신고서를 잇따라 제출하고 있다.

LS머트리얼즈는 기관 수요 예측 진행을 하루 앞둔 지난달 21일 10월 실적을 추가한 정정 신고서를 제출했다. 이 회사의 지난달 연결기준 매출은 114억원으로 전년동기(115억원) 대비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수치보다는 제출 그 자체에 이목이 쏠렸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파두의 ‘실적 쇼크’ 사태를 계기로 수요 예측을 앞둔 기업과 주관사에게 최근까지 집계한 월간 실적을 보완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LS머트리얼즈는 당초 지난달 말 상장을 목표했으나 증권신고서를 거듭 수정하면서 오는 12일로 상장 일정이 연기됐다.

이익 미실현 기업 특례상장으로 IPO를 추진 중인 블루엠텍도 지난달 23일 10월 누적 기준 실적을 공개했다. 지난달까지 누적 매출액은 959억원, 영업이익은 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회사는 지난달 22일 수요 예측 일정을 개시했지만 이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특례상장은 기술에 초점을 맞춘 ‘기술특례’와 성장성에 중점을 둔 ‘이익미실현(테슬라 요건)’으로 나뉜다. 테슬라 요건은 적자 기업이라도 성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장을 허용해주는 제도로 지난 2017년 국내에 도입됐다. 테슬라라는 명칭은 지난 2010년 6월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적자에도 불구하고 미국 나스닥시장 상장에 성공한 뒤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한 사례를 국내에 재현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당초 금감원은 블루엠텍이 테슬라 특례 요건으로 IPO에 도전하는 만큼 실적 보완이 필요 없다고 봤다. 그러나 다른 IPO 기업들과의 형평성 문제를 감안해 결국 실적을 보완하라는 요구에 나섰다.

블루엠텍 역시 지난 10월 31일부터 지난달 6일까지 수요 예측을 진행하려고 했지만 증권신고서 정정이 반복되면서 수요예측 일정이 지난달 22~28일로 밀렸다.

김정태 금융감독원 부원장보가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IPO시장의 공정과 신뢰 제고를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정태 금융감독원 부원장보가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IPO시장의 공정과 신뢰 제고를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통상 예비 상장사들은 상장 대표 주관을 맡은 증권사들과 예비심사 청구와 상장 시기 등 일정을 협의한다. 그러나 상장 일정의 연기가 빈번해지면서 증권사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일단 상장이 미뤄지면 미뤄질수록 증권사가 관련 수익을 얻는 시점은 늦어질 수밖에 없다. 최악의 경우 상장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기업이 상장을 철회하게 되면 인수 수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장 실패 책임이 고스란히 주관사로 돌아갈 수도 있다.

이에 LS머트리얼즈의 상장 대표 주관사인 키움증권과 KB증권, 블루엠텍의 대표 주관사인 하나증권과 키움증권도 긴장감 속에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또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은 일부 기업들이 아직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고 있는 등 공모주 시장 전반의 부담감이 높아진 양상이다. 아울러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지만 수요 예측 일정을 넉넉하게 잡는 기업과 주관사들도 등장하고 있다.

포스뱅크는 대표 주관사인 하나증권과 함께 지난 10월 27일 상장 예심 승인을 받은 후 지난달 29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했고 내년 1월 5일부터 수요예측에 나설 계획이다. 보통 증권신고서 제출 이후 1~2개월 내에 수요예측과 공모주 청약 일정이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속도가 느린 편이다.

당초 금융당국은 올해 심사 기간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금감원과 한국거래소는 지난 7월 두 기관의 업무 공조를 강화해 상장 심사 기간을 단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기술특례 기업 상장 예비심사 중 검토한 분석 내용을 금감원에 공유하고 금감원은 정정 요구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거래소에 공유하는 방식 등이 거론됐다.

하지만 파두 사태 이후 기업 실적을 포함해 각종 투자 위험 요인에 대한 더욱 깐깐한 검토가 이뤄지면서 다시 엄격한 심사로 방향을 선회할 수 밖에 없게 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금감원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로 IPO가 줄줄이 지연돼 당국이 이런 문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파두 사태로 다시 원점에 돌아갔다”며 “기업과 주관사들이 돌발 변수에 대비하고 보완 작업을 거치기 위해 상장 일정을 최대한 늦추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