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메리츠·한투·삼성證 새 인물 대표 선임

신한·대신 연임 가능성 속 교보·SK·하이투자 주목

각사 인사 기준 다르지만 거센 세대교체 변수 가능성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데일리안DB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데일리안DB

올해 연말 증권사 인사에서 대형사들로부터 시작된 최고경영자(CEO)들의 교체 바람이 중소형사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그 어느 해보타 CEO 교체 바람이 거센 상황으로 업권 전반으로 확산될지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메리츠·한국투자·삼성증권 등 대형사들에서 CEO들이 교체된 가운데 이제 시선은 신한투자·대신증권을 넘어 교보·하이투자·SK증권·DB금융투자 등 중소형사로 쏠리고 있다.

지난 10월 미래에셋증권에서 시작된 CEO 교체 바람이 지난달 메리츠와 한투를 거쳐 이달 초 삼성증권까지 이어진 상태로 KB증권(박정림)과 NH투자증권(정영채)도 라임·옵티머스 판매사 CEO에 대한 금융당국의 중징계 영향으로 대표이사 교체 가능성이 한층 커진 상황이다. KB증권의 경우, 박 사장과 각자 대표를 맡아 온 김성현 사장의 연임 여부와 함께 단독 대표체제로의 변화 여부도 관심사다.

이제 남은 대형사는 신한투자증권과 하나증권 정도로 유임 가능성이 다른 곳 보다 높기는 하다.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사장은 올해 말로 2년 임기가 만료되기는 하지만 올해부터 단일 대표를 맡았고 지금까지 실적도 나쁘지 않아 연임 가능성도 높다. 하나증권의 경우, 강성묵 대표이사가 지난해 말 회사를 맡아 올해가 임기 첫 해여서 이변이 없는 한 유임이 확실시 되고 있다.

대신증권도 오익근 대표이사가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지만 전망은 긍적적이다. 한 번 연임에 성공해 이번이 두 번째 임기(2년)를 마치는 것이지만 호 실적에 리스크 없이 안정적으로 회사를 이끌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회사도 종합금융투자사(종투사) 지정을 준비 중이어서 현 체제에서 크게 변화를 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최근 라임·옵티머스 판매사 CEO 관련 금융당국의 징계 수위가 낮춰지며 오너 3세인 양홍석 부회장이 경영 활동에 문제가 없게 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이제 시선은 중소형 증권사로 쏠리는 양상이다. 김신 SK증권 사장, 박봉권 교보증권 사장, 홍원식 하이투자증권 사장, 곽봉석 DB금융투자 사장, 김병영 BNK투자증권 사장, 임재택 한양증권 사장 등 줄줄이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는 CEO들이 연임에 성공할 지가 관건이다.

김신 SK증권 대표이사 사장. ⓒSK증권 김신 SK증권 대표이사 사장. ⓒSK증권

가장 관심을 모으는 이는 김신 SK증권 사장이다. 김 사장은 지난 2014년 CEO로 선임된 이후 2번(2017·2020년)의 연임에 성공하며 장수 CEO 반열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말 이사회에서 1년의 임기가 추가되면서 올해까지 회사를 이끌어 왔다.회사를 안정적으로 성장시켜온 것은 장점이지만 투자 자산 평가손실로 인한 실적 악화는 약점이 될 수 있다.

또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와 대표 재직 년수는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김 사장은 1963년생으로 앞서 대표에서 물러난 장석훈 삼성증권 사장과 같은 나이로 장 사장도 지난 2018년부터 대표이사를 맡아왔는데 이번에 교체됐다.

홍원식 하이투자증권 사장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꺾기 의혹을 받고 있는데다 지난 국정감사 당시 금융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하기도 하는 등 고려 요소들이 많아 불확실성이 크다. 박봉권 사장도 2020년부터 회사를 맡아 지난해 연임에 성공한 상황에서 3연임 여부가 주목받으면서 이석기 사장과의 각자 대표 체제가 지속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 대표를 맡아 온 김병영 BNK투자증권 사장은 내년 2월 임기가 만료되면 교체에, 올해 선임 후 임기 첫 해를 보낸 곽봉석 DB금융투자 사장은 유임에 좀 더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지난 2018년부터 회사를 이끌어 온 임재택 한양증권 사장도 내년 3월 임기를 마칠 예정이어서 거취가 주목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각 사마다 인사 기준이 다르긴 하지만 그 어느 해보다 올해 세대교체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는 점은 변수”라며 “대형사와 마찬가지로 중소형사에서도 증권가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