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공시대상기업집단 내부거래 현황

SK·현대차·삼성 내부거래 크게 증가세

총수 일가 지분율 높을수록 비중 크다

공정거래위원회 ⓒ연합뉴스 공정거래위원회 ⓒ연합뉴스

지난해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기업집단 내부 거래금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큰 규모로 증가했다. 회사 내부거래 비중은 총수 일가 또는 총수 2세 지분율이 많을수록 올라가는 흐름이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1일 ‘공시대상기업집단 내부거래 현황’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10대 그룹 내부 거래액 1년 새 40조원 증가
전체 기업집단 국내계열사 간 내부거래 금액(비중) 추이 ⓒ공정거래위원회 전체 기업집단 국내계열사 간 내부거래 금액(비중) 추이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지정된 8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지난해 국내외 계열사 전체 내부 거래 비중은 33.4%, 내부거래 금액은 752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은 12.2%(275조1000억원), 국외 계열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21.2%(477조3000억원)로 조사됐다.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집단 내부 거래액은 196조4000억원으로 전년(155조9000억원) 대비 40조5000억원(26.0%) 증가했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기업별로는 SK(57조7000억원), 현대자동차(54조7000억원), 삼성(34조9000억원), 포스코(25조5000억원), HD현대(14조2000억원) 순 등으로 많았다.

해당 기업 내부거래 비중은 13.9%로 공시 대상 집단 내부거래 비중(12.2%)보다 1.7%포인트(p) 높았다. 전년과 비교하면 1.0%p 증가했다.

내부거래 비중이 1년 전보다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SK(4.6%p)였다. 공정위는 지난해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SK 에너지 계열회사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5년간 내부 거래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집단은 현대자동차(2.6%p)였다. 현대차는 글로벌 완성차 판매시장 호조로 수출 완성차에 들어가는 부품 계열사들의 매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LG의 경우 총수 있는 상위 10대 집단 중 유일하게 5년 연속 내부거래 비중이 줄어들며 지난해 9.0%까지 떨어졌다.


총수 지분율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 컸다
총수일가 또는 총수2세 지분율에 따른 내부거래 비중 ⓒ공정거래위원회 총수일가 또는 총수2세 지분율에 따른 내부거래 비중 ⓒ공정거래위원회

총수 일가와 총수 2세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경향도 유지됐다.

총수 일가 지분율이 20% 이상인 소속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11.7%였다. 20% 미만인 회사(12.0%)보다 5.9%p 높았다. 지분율 30% 이상은 12.6%, 50% 이상은 18.8%, 100%는 27.7%까지 내부 거래 비중이 늘어났다.

총수 2세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17.9%, 30% 이상은 19.4%, 50% 이상은 25.8%, 100% 이상은 25.2%로 각각 집계됐다.

내부거래 금액도 총수 일가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14조9000억원→24조3000억원)와 총수 2세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3조1000억원→3조7000억원) 모두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의 분야에서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내부거래 금액은 제조업, 건설업, 운수 및 창고업 등의 분야에서 높았다.

공정위 관계자는 “총수일가 지분율과 내부거래 간 양의 상관관계가 지속되고 있어 모니터링 필요성은 여전히 상당하다”며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과 금액이 큰 것으로 부당 내부거래 소지가 높다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대기업 상표권 수익 1.8조원…“상표권 거래 모니터링 필요”
상표권 사용 거래규모가 1000억원 이상인 기업집단 ⓒ공정거래위원회 상표권 사용 거래규모가 1000억원 이상인 기업집단 ⓒ공정거래위원회

특수관계인의 부당이익 제공 행위 관련 규제 대상 회사의 국내외계열사 전체 내부거래 비중은 53조원(15.6%)이었다.

국내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은 10.8%(36조7000억원), 국외 계열사와의 내부거래 비중은 4.8%(16조3000억원)이었다

국내 계열사 간 거래 중 90.8%는 수의계약으로 진행했다. 비상장사(92.5%)가 상장사(88.9%)보다 비중이 높았다.

상표권 사용계약을 체결하고 대가를 지불하는 유상사용 집단·수취회사 수(59개 집단·100개 사)와 거래 규모(1조7800억원)는 전년보다 모두 증가했다.

총수 있는 집단 상표권 유상사용 비율은 76.4%, 총수 없는 집단의 유상사용 비율은 40.0%로 조사됐다.

공정위는 “상표권 유상 사용 증가로 상표권 거래 관행이 투명화되고 있지만 총수일가 지분율이 높을수록 상표권 수취액이 커지는 점을 고려할 때 상표권 거래 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