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와 튀르키예, 인플레 압박에 금리 인상
IMF 협상 앞둔 이집트도 인상 동참
호주, 동결했지만 추가 인상 시사
대부분 전문가들 전망과 엇갈린 정책 펼쳐

출처 트레이딩이코노믹스

미국에서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지만, 연내 인하 사실만은 확실시되고 있다. 이와 달리 일부 개발도상국들은 시장 전망을 깨면서까지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다. 미국의 통화정책을 뒤따르는 게 일반적이지만, 인플레이션 등을 이유로 ‘각자도생’에 나섰다는 평가다.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케냐는 기준금리를 종전의 연 12.5%에서 13%로 12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인상해 금융시장을 놀라게 했다. 앞서 주요 이코노미스트 8명 중 2명 만이 인상을 예상했지만, 중앙은행의 판단은 달랐다. 2022년 5월 시작한 금리 인상은 7회 연속 이어지고 있으며 누적 인상 폭은 6%포인트(p)에 달한다.

카마우 투게 케냐 중앙은행 총재는 “에너지 가격 상승과 환율 하락이 반영되면서 인플레이션 위험은 단기적으로 여전히 높다”며 “목표 범위 상한에서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트레이딩이코노믹스

이집트는 이달 초 금리를 2%p 인상했다. 기준금리와 1년 만기 대출금리는 각각 21.25%, 22.25%로 높아졌다. 금리 인상을 예측한 은행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뿐, 나머지는 동결을 전망했다.

이번 결정은 최근 3개월간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차입 비용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다만 국제통화기금(IMF)과 30억 달러(약 3조9800억 원) 대출을 놓고 협상을 하는 이집트로서는 긴축의 노력을 증명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골드만삭스의 파루크 소사 이코노미스트는 “앞으로 몇 주 안에 나올 수 있는 IMF와의 새로운 협정은 이집트 통화 기조에 매파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며 “인상 폭 증가는 미래의 협정을 위한 길을 매끄럽게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플레이션과 리라화 가치 하락에 허덕이는 튀르키예는 기준금리를 무려 45%까지 올렸다. 튀르키예 중앙은행은 성명에서 “인플레이션 경로를 목표 기준에 맞추는 데 필요한 긴축이었다”며 “월별 인플레이션 추세가 많이 감소할 때까지 현 수준의 금리가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리암 피치 이코노미스트는 “커뮤니케이션은 상대적으로 매파적이었다”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한 자릿수로 낮추려면 장기간 금리를 높게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정책 입안자들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전날 호주는 시장 전망대로 금리를 동결했다. 그러나 금리가 4.35%라는 역사적 수준으로 높은 데다 당국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 시장에 긴장감을 줬다. 호주 중앙은행은 “경제 전망은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다”며 “금리의 추가 인상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스테이트스트리트글로벌마켓의 드와이포 에번스 투자전략가는 “예상보다 조금 더 매파적인 발언이 나왔다. 특히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가 약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며 “확실히 일부 사람들이 예상했던 중립적이거나 비둘기파적인 발표는 아니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