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매각 전년比 131%나 늘어

길어지는 고금리에 충격 누적

코로나 금융지원 잠재 위험도

은행 먹구름 이미지. ⓒ연합뉴스 은행 먹구름 이미지. ⓒ연합뉴스

국내 4대 은행이 손실을 떠안거나 외부 기관에 헐값에 파는 형태로 정리한 부실대출 규모가 한 해 동안 두 배 넘게 급증하면서 지난해에만 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가 길어지면서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는 이들이 많아지자 은행권의 리스크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모습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 이후 수 년 째 계속돼 온 금융지원 정책까지 감안하면 앞으로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이 상각하거나 매각한 부실채권은 총 4조2091억원으로 전년 대비 131.7% 늘었다.

은행은 회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된 부실채권을 상각이나 매각을 통해 처리하게 된다. 상각은 은행이 손해를 감주하고 갖고 있던 부실채권을 아예 장부에서 지워버렸다는 의미다. 부실채권 매각은 채권 원가에 훨씬 못 미치는 돈을 받고 자산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이를 넘긴 것이다.

은행은 보통 고정이하여신이란 이름으로 부실채권을 분류해 둔다. 고정이하여신은 금융사가 내준 여신에서 통상 석 달 넘게 연체된 여신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금융사들은 자산을 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누는데 이중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에 해당하는 부분을 묶어 고정이하여신이라 부른다.

유형별로 보면 조사 대상 은행들이 상각 처리한 부실채권은 1조6829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39.6% 증가했다. 부실채권 매각도 2조5262억원으로 313.5%나 늘었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의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가 1조1979억원으로 216.7% 증가하며 최대를 기록했다. 우리은행 역시 1조1286억원으로, 신한은행은 1조667억원으로 각각 227.3%와 97.9%씩 해당 금액이 늘었다. 국민은행의 부실채권 상·매각도 8159억원으로 47.2% 증가했다.

4대 은행 부실채권 상·매각 추이. ⓒ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4대 은행 부실채권 상·매각 추이. ⓒ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이는 은행이 회수를 포기해야할 만큼 차주의 경제적 사정이 나빠진 대출이 그만큼 많이 늘어났다는 뜻이다. 아울러 금융사 입장에서는 대출 리스크 관리에 실패한 케이스가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한국은행은 2022년 4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중 7월과 10월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한은 기준금리는 3.50%로, 2008년 11월의 4.00% 이후 최고치다.

문제는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리스크가 잠재돼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2020년 4월부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상대로 시행돼 온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가 3년 넘게 지속되고 있어서다.

이는 금융지원이 아니었다면 연체로 이어졌을 대출 중 상당수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고 억눌려 왔다는 뜻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코로나19 금융지원에 따른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 금액은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76조2000억원에 달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인하 시기가 계속 미워지고 있는 만큼 올해도 당분간 부실채권이 늘어나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며 “은행들로서는 관련 비용의 추가 확대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