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보트’ 대항마로 ‘온라인 주총장’ 부상

저렴한 수수료 vs 공공기관 신뢰도 내세워

삼성증권 주총 전자투표 서비스 '온라인 주총장' 홈페이지 화면 캡쳐.ⓒ삼성증권 삼성증권 주총 전자투표 서비스 ‘온라인 주총장’ 홈페이지 화면 캡쳐.ⓒ삼성증권

3월 정기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국내 전자투표 시스템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한국예탁결제원과 삼성증권의 경쟁 구도에 관심이 모인다. 삼성증권은 저렴한 수수료와 전담 서비스를, 예탁원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신뢰도를 각각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어 주목된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이 전자투표 시장에서 예탁원의 대항마로 부상하면서 올해 치열한 서비스 대결이 펼쳐질 전망이다.

삼성증권의 주총 전자투표 서비스인 ‘온라인 주총장’의 계약 기업 수는 올해 현재 902개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280개사에서 지난해 820곳으로 192.9% 늘어난 뒤 꾸준히 증가 추세다.

삼성증권의 ‘온라인 주총장’을 이용한 기업 수도 2020년 200곳에서 작년 609곳으로 204.5% 급증했다.

같은 기간 예탁원의 전자투표 시스템 ‘케이-보트(K-VOTE)’를 이용한 기업은 약 30.2%(659곳→858곳) 증가했다. 2022년(974곳)과 비교하면 작년에는 수치가 오히려 줄었다. 가장 많은 기업들이 이용하고 있지만 그간의 입지를 감안하면 힘이 다소 떨어진 양상이다.

예탁원은 K-VOTE를 이용하는 회사 중 일부가 지난해엔 전자투표를 채택하지 않았거나 다른 회사를 이용했기 때문이라고 감소 이유를 설명했다.

전자투표제는 주주가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로 2010년 5월부터 시행됐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는 예탁원의 ‘K-eVote’가 유일했지만 이후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이 뛰어들면서 독점 체제가 무너졌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자투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증권사는 삼성증권 1곳뿐이다. 앞서 증권사들은 기업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전자투표 플랫폼을 무료로 제공했으나 법인 가입이 저조하고 서비스 제공에 한계를 느끼면서 모두 시장에서 철수했다.

예탁결제원의 주총 전자투표 서비스 'K-VOTE' 홈페이지 화면 캡쳐.ⓒ예탁결제원 예탁결제원의 주총 전자투표 서비스 ‘K-VOTE’ 홈페이지 화면 캡쳐.ⓒ예탁결제원

이후 삼성증권은 본격적인 서비스를 위해 올해부터 전자투표 서비스를 유료화로 전환했다. 유료화 진행에도 수수료는 여전히 저렴한 수준이다.

수수료 정책은 주주총회 기준일 기준 상장사의 자본금 규모에 따라 표준수수료를 책정하고 전자투표권자 수에 따른 적용률을 곱해 산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자본금 320억원, 전자투표권자수 12만명의 기업의 경우 예탁원 서비스를 이용하면 투표 420만원, 투표·위임 서비스는 546만원이고 삼성증권은 투표 187만원, 투표·위임 187만원이다. 자본금 150억원, 전자투표권자수 2만명 기업일 경우 예탁원 서비스는 투표 250만원, 투표·위임 325만원이며 삼성증권은 투표 108만원, 투표·위임 108만원이다.


수수료 할인 제도도 있다. 예탁원은 고용노동부 지정 일자리 으뜸기업 및 사회적 기업 100% 감면 혜택이 있고 삼성증권은 예탁 자산(연간 평균 잔고) 및 거래 실적에 따라 30~100% 할인(전년도 기준 1년 단위로 할인율 갱신)을 제공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거래 실적과 예탁 자산 등에 따라 수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실제 계약 기업 상당수가 할인 혜택을 받고 연장하고 있다”면서 “수수료도 시스템 관리 등을 위한 실비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예탁원은 주총 전 과정의 디지털화도 추진하고 있다. 상법 개정 시 2026년 정기 주총부터 전자주총 서비스가 개시될 전망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높은 전자투표 수수료에 대해 업계 일각의 시선이 곱지 않은 만큼 수익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이순호 예탁원 사장은 “관련 수수료를 높이거나 감면해주는 것은 금융위원회 산하 시장효율화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수 예탁원 전략기획본부장은 “정부 정책 사업이기 때문에 수익보다는 정책에 우선을 둘 것 같고 일단 모델을 분석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