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마무리 되면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700만명에 달하는 이들은 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절반의 보유하고 있다. 그 중 80%가 부동산이다.

과거에는 이들이 자산을 처분해 노후자금으로 쓰면서 주택가격 하락요인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지만 지금은 달라졌다. ‘주택연금’을 활용하거나 ‘부의 이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데 그칠 것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의 한 무료급식소에서 노인들이 무료 식사를 먹기 위해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조선DB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의 한 무료급식소에서 노인들이 무료 식사를 먹기 위해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조선DB

◇’부의 세대’ 베이비부머… “막상 노후대비는 일부만”

6·25전쟁 직후인 1955년부터 1963년 사이 태어난 베이비부머의 수는 700만명에 육박한다. 이 중 막내격인 1963년생이 지난해 60세 정년을 맞았다. 약 3~4년이 지나면 베이비부머 대부분이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은퇴하게 된다.

이들은 고도성장기에 생산가능 연령대를 보내면서 부를 축적해왔다. 부동산·금융자산을 합해 한국 가계 순자산의 46%를 60세 이상이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80% 이상이 부동산임을 고려하면 이들의 자산 역시 거의가 부동산에 묶여 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부(富)의 세대’라 불리는 베이비부머들 중 노후대비가 잘 된 경우는 많지 않다. 오히려 부모와 자식을 모두 책임져야 하는 이른바 ‘낀 세대’라는 자조섞인 말도 있다. 일부에서는 ‘노인빈곤’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11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40.4%로 OECD 38개 국가 중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 연구원은 “은퇴시기에 보유자산이 많은 경우가 생각보다 많지 않다”면서 “부모 혹은 자식의 부양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년을 맞이하게 될 경우 추가적인 현금흐름 확보가 절실할 수 있다”고 했다.

서울 중구 한국주택금융공사(HF) 서울중부지사에 주택 연금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뉴스1
서울 중구 한국주택금융공사(HF) 서울중부지사에 주택 연금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뉴스1

◇’주택연금’ 활용 늘어… “장기적으론 공매 늘수도”

과거에는 베이비부머들이 중대형 주택 자산을 매각하거나 줄여 노후자금으로 쓸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이 때문에 ‘베이비부머들의 은퇴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내년부터 만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주택연금’이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됐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지난해 10월 기존에는 공시가격 9억원 이하 주택이 기준이었던 주택연금 요건을 12억원으로 완화했다. 시세로 환산하면 16억~17억원 주택을 가진 이들도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게 됐다. 주금공은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주택연금 가입 수요가 늘 것으로 보고 주택연금 보증 공급 목표를 25조4904억원으로 역대 최대로 높여잡았다.

고준석 연세대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주택연금 한도가 늘어나면서 주택연금 신청자도 늘어나고 있다”면서 “과거에는 주택을 처분해 지방으로 내려갔는데 부적응 등으로 다시 회귀하는 일이 많았다”고 했다.

‘주택연금’의 활용은 베이비부머가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을 경감시키는 요인이다. 상당기간 있는 집을 그대로 활용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주택을 처분해 지역을 이동하거나 줄이게 되면 매물로 나오게 되는데 그럴 가능성이 차단되는 것이다. 또 지금까지는 집을 월세로 놓고 소득창출의 활용 창구로 놓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가능성도 줄어들면서 전월세 시장에 미칠 영향도 줄게 됐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당장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은퇴시대에 주택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연금을 받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다만 장기적으로 베이비부머들의 사망과 함께 주택연금의 대상이 된 주택을 한꺼번에 처분하게 되면 주택시장의 하락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주금공은 대상 주택을 공매로 넘겨 처분하게 되는데 공매 물건이 과도하게 늘어나면 이 또한 부동산 시장의 불안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선종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장기적으로 공적연금이 활성화된 후에 만기가 도래해 시장에 매물이 쌓이게 될 수 있다”면서 “이 매물이 일시에 쌓이면서 만약 부동산이 우하향하는 시기와 맞물리면 하락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