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KB금융지주, KB국민은행.(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시중은행 중 기업대출 잔액 1위인 KB국민은행이 최근 기업대출 영업 확대에 시동을 걸었다. 영업점에 금리 재량권을 확대하는 한편 주요 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 가산금리를 제시하는 식으로 고객 몰이에 나선 것이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 속 은행권이 기업대출 영역에서 뺏고 빼앗기는 경쟁을 벌일 때, 국민은행은 상대적으로 리스크 관리 중점을 뒀는데, 이러한 전략이 최근 들어 바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올릴 가능성이 제한적인데다 기존처럼 리스크 관리에만 집중했다가는 타행들에게 고객들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최근 일선 영업점의 기업대출 금리 재량권을 기존 대비 확대했다. 영업점에서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금리를 산정할 때 추가적으로 인하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것이다. 기존에는 일정 수준 이상 대출금리를 낮추기 위해서는 본부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국민은행 일선 영업점은 한층 빨라진 의사결정을 토대로 기업 고객들에게 보다 낮은 금리를 제시할 수 있게 됐다.

실제 국민은행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을 내줄 때 가산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식으로 영업을 확대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달 현재 은행별 중소기업 대상 신용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신한은행이 5.17%로 가장 낮고, 하나은행 5.29%, 국민은행 5.69%, 우리은행 5.77%, NH농협은행 6.19% 순이다. 대출금리를 세부적으로 보면 KB국민은행의 가산금리는 3.99%로 하나은행(3.80%)에 이어 두 번째로 낮다. 신한은행(4.79%), 우리은행(4.74%), NH농협은행(4.03%)과 달리 국민은행은 3%대의 가산금리를 제시한 것이다.

가산금리란 은행들이 대출금리 산정을 위해 기준금리에 가산한 금리로, 업무원가, 법적비용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다. 국민은행의 가산금리가 낮은 것은 회사 전사적으로 금리를 낮춰 영업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는 행보로 풀이된다.

4월 말 기업대출 현황.

▲4월 말 현재 은행별 기업대출 현황.(자료=강민국 의원실)

이미 은행권은 작년, 재작년부터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에 대한 돌파구로 기업대출 영업을 강화했다. 이런 와중에도 KB국민은행은 상대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면서 기업대출 잔액 1위 자리를 사수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은행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4월 말 현재 기업대출 잔액 170조4000억원으로,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246조7000억원)을 제외하고 주요 은행 중 1위다.

다만 은행권이 기업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리면서 2위인 하나은행(166조9000억원)과의 격차는 3조5000억원대로 축소됐다. 현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저울질하는 상황에서 KB국민은행이 기존과 같은 전략을 고수했다가는 기업대출 잔액 1위를 지키는 것도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이 영업 전략에도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특히나 은행권 내부적으로 가계대출은 공산품, 기업대출은 공예품에 비유할 정도로 기업대출은 직원들의 정부 지원 사업, 정책자금 등 이해도나 역량에 따라 대출 한도, 금리 등 요건이 달라질 수 있다. 결국 각 은행들이 어떠한 전략을 펼치느냐에 따라 기업대출 판도도 바뀌는 셈이다. 은행권이 기업대출 전략이나 방식을 계속해서 손질하는 이유다.

일례로 신한은행은 기업들이 많이 모여 있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SOL 클러스터\’ 조직을 신설하고, 현장의 기업금융전담역(RM)과 대출 심사역 등을 한 곳에 뒀다. 기존 영업, 대출심사가 분리된 관행을 깬 것으로, 현장에서 협업해 한층 빠른 의사결정 체계를 바탕으로 기업 고객의 수요에 적기에 대응하도록 했다. 여기에 RM들에게 공동의 목표를 부여해 협업 시너지를 내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RM 원 팀\’ 제도도 운영 중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업대출 금리는 IBK기업은행이 가장 낮은 편이기 때문에 나머지 시중은행들은 기존 업체를 놓고 뺏고, 빼앗기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최근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악화되면서 대출 목적이 연구개발(R&D), 투자와 같은 성장보다는 급한 불을 끄는데 초점이 맞춰진 만큼 조금 더 저렴한 금리로 은행을 옮기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