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5조원 규모로 성장한 온누리상품권 실태조사에 착수한다. 지류형 대신 플랫폼 기반 비(非)지류형 온누리상품권이 확대될 가운데 정책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황을 파악한다. 지급결제 방식이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페이’로 개편되는데 온누리상품권 역시 디지털발(發) 추세를 따라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이르면 다음 달 중 온누리상품권 실태조사에 착수한다. 수행기관을 선정해 하반기 본격 실태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온누리상품권은 중기부가 2009년부터 발행을 시작한 유가증권이다. 전통시장 보호와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다. 중기부가 발행하고 소진공이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지류와 모바일, 카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형태에 따라 5~10%를 할인해 구매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전통시장이나 상점가에서 사실상 최대 10% 할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올해 목표액은 5조원이지만, 최대 6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

이번 실태조사는 법 개정에 따라 기존 상품권 운용 현황을 점검하고, 플랫폼 기반 비지류형 확대 등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3월 온누리상품권 사용과 환전 현황 등 유통 실태조사에 대한 필요 사항을 규정한 전통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회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먼저 전반적인 온누리상품권 운용 실태를 점검한다. 온누리상품권의 경우 2009년부터 판매하고 있지만, 그간 제대로 된 현금흐름을 살펴본 사례는 없었다. 이에 상품권 발행과 판매, 환전 등 프로세스를 살펴본다.

불편을 초래했던 가맹점 현황도 점검한다. 현재 소진공 온라인 플랫폼 ‘전통시장 통통’ 등에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상품권을 취급하지 않거나 가게 폐업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아 소비자가 허탕을 치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온누리상품권의 디지털 확대 전략을 위한 토대도 마련한다. 소진공은 올해 초 온누리상품권 운용 계획을 밝히면서 지류형 대신 비지류형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지류형의 경우 전통시장 등 노점상도 사용할 수 있지만, 비지류형이 확대될 경우 이들이 사각지대에 내몰릴 수 있다. 이에 이들이 플랫폼 기반 비지류형 온누리상품권 환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전반적인 디지털 확대 전략도 새롭게 수립하도록 준비한다.

지급결제 전문가들은 온누리상품권 역시 최신 지급결제 트렌드에 맞춰 페이 기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미 중기부는 카드형, 모바일로 분류되던 비지류형 형태를 플랫폼 기반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급결제 전문가는 “최근 모든 결제 수단을 보면 상품권이나 카드보다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페이 형태로 바뀌고 있어 온누리상품권 비지류형 확대는 이런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라면서 “최근 20·30세대가 전통시장에 방문하고 인증하는 트렌드가 점차 온라인에서 확대하고 있어, 이들에게 친숙한 페이기반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