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 채무 채권자에 상당수

캐피탈사 건전성 ‘예의주시’

서울 여의도 태영건설 본사 전경. ⓒ뉴시스 서울 여의도 태영건설 본사 전경. ⓒ뉴시스

태영건설의 기업구조개선(워크아웃)을 계기로 제2금융권을 향한 불안이 계속 커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 브릿지론 만기가 집중돼 있어 이를 주로 취급한 캐피탈사나 저축은행, 증권사 등의 손실이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다.

다만 2금융권은 재무건전성이 개선되고 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취급 중인 여전사들은 대부분 지주 계열사라는 점에서 대주주의 지원능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34조3000억원이다. 업권별 대출 잔액 규모는 은행이 44조2000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험사가 43조3000억원 으로 뒤를 이었다. 연체율은 은행이 0%, 보험사가 1.11%로 낮은 수준이다.

문제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비은행기관이다.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잔액은 9조8000억원이며, 상호금융은 4조7000억원이다. 연체율은 5.56%, 4.18%에 달한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으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태영건설 채권단에 따르면 태영건설이 부동산PF 사업을 위해 간접적으로 금융사에 차입한 금액(보증 채무)은 9조1816억원이다. 보증 채무는 시공사인 태영건설이 아닌 시행사가 받은 PF대출이지만 태영건설이 보증을 서 사실상 태영건설의 익스포저(위험노출액)다.

태영건설에 직접 PF대출을 내준 금융사는 자본력이 충분한 은행 등인 반면 태영건설 보증 채무의 채권자 중에도 2금융권이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행사는 캐피탈·저축은행·상호금융 등 2금융권에서 PF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다.

정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추진 상황에 따라 부동산PF 시장 및 금융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비하기 위해 금융기관이 PF 사업장별 사업성 등을 감안해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손실흡수능력이 양호한 은행권 외에 캐피탈·저축은행·상호금융·증권 등 2금융권의 경우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금융권에선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잔액 규모를 130조원대로 예상하고 있다. 이중 브릿지론은 약 30조원, 본PF는 약 10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나이스신용평가 등에 따르면 2금융권의 태영건설 위험노출액(익스포저) 규모는 1조6000억원이다. 업권별로는 증권이 9299억원, 캐피탈 6552억원, 저축은행 128억원, 부동산신탁 91억 원이다.

특히 캐피탈사는 자본력이 약하고 연체율도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캐피탈사의 PF대출 연체율은 4.44%이다. 증권사(13.85%)와 저축은행보다는 낮지만 은행이나 보험, 상호금융과 비교하면 높다.


금융권은 선순위 채권자로 들어간 은행, 보험사와 달리 저축은행과 캐피탈사는 대체로 후순위 채권자라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한다. 시중은행과 보험사들은 대부분 선순위채권과 보증보험을 낀 대출이다 보니 자금회수에 큰 문제가 없지만 2금융권은 시중은행이 대출하지 않는 사업장에 돈을 빌려주다 보니 건설경기 하락에 따른 위험에 더 크게 노출된다는 것이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이 당장 유동성에 영향을 주진 않지만 이번 사태의 영향으로 부동산PF 시장이 침체되면 위험이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다만 이번 사태가 2금융권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태영건설 익스포저를 보유한 캐피탈사 중 태영건설 익스포져가 전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3.5%로 크지 않았으며, 자기자본 대비 비율은 약 3.1%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업종 총자산과 자기자본 대비로는 작은 수준”이라며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이 2금융권 전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태영건설 시행 부동산개발 사업장 익스포저가 큰 회사를 중심으로 충당금 적립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며, 건전성 저하와 더불어 수익성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신협회 관계자는 “PF리스크 증대 가능성에 대비해 높은 유동성 비율 유지 등 선제적 노력도 병행 중에 있으며 PF를 취급 중인 여전사가 대부분 지주계 계열회사로 대주주의 지원능력도 충분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