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전년 대비 약 13만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토대로 산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는 38만7415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25만7980건) 대비 12만9435건 증가한 동시에 2020년(22만2028건↑), 2013년(15만9213건↑)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큰 증가 폭이다.

특히 대규모 단지 위주로 매매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다. 1500가구 이상 대단지 매매 건수는 2022년 2만7872건에서 지난해 6만285건으로 3만2413건(116.2%) 증가했다. 단지 규모별 증가율로 보면 2.16배로 가장 크게 늘었다.

이어 △1000∼1499가구 1.89배(2만9450건↑) △700∼999가구 1.67배(3만2650건↑) △500∼699가구 1.53배(2만607건↑) △300∼499가구 1.27배(1만3772건↑) 등의 순이다.

반면 300가구 미만 소규모 단지의 매매 거래 증가량은 543건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아파트 매매 거래 증가의 원인으로 특례보금자리론이 1년간 운영된 점을 꼽는다. 또 부동산 불황기에는 대단지 선호 현상이 짙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시장 불황기일수록 선호와 비선호로 나뉘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는 만큼, 올해 역시 신축 대단지에 대한 선호 현상이 더욱 심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