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2023년 전국 아파트·단독주택·빌라 매매 거래비중
2006~2023년 전국 아파트·단독주택·빌라 매매 거래비중./경제만랩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1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작년 전국 주택 매매거래 55만5054건 가운데 아파트 거래는 41만1812건으로, 전체의 74.2%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이다.

이 비중은 2020년 73.0%에서 2021년 65.9%, 2022년 58.7% 등으로 하락하다가 지난해 상승 전환했다.

전국에서 아파트 매매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시였다. 주택 매매거래 5606건 중 94.5%에 달하는 5297건이 아파트 거래였다.

이어 대구(89.4%), 광주(89.3%), 울산(89.0%), 대전(80.7%), 경남(79.9%), 부산(79.4%), 충북(77.9%), 전북(77.2%), 충남(76.9%), 경기(75.5%), 강원(72.8%), 경북(70.7%), 전남(69.9%), 인천(67.5%), 서울(56.6%), 제주(34.0%) 등의 순이었다.

아파트 비중이 커지다 보니 단독주택·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매매거래량과 거래 비중은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국 빌라(연립·다세대) 매매거래량은 8만5593건으로, 전체 주택 매매의 15.4%를 기록했다. 단독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7649건으로 10.4%에 그쳤다.

전국적으로 부동산시장 침체에 따른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가 이어지면서 비아파트 기피 현상 뚜렷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여기에다 아파트 가격까지 주춤해지면서 작년에는 아파트로 수요가 분산된 영향도 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비아파트의 경우 아파트와 비교해 환금성이 떨어지는 데다 전세사기의 영향까지 받아 전세와 매매 수요 모두 줄었다”며 “당분간 아파트와 비아파트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