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올해 1분기 30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이 직전 분기 대비 커졌다. 최저 1%대 금리로 주택 구입·전세 자금을 빌릴 수 있는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부 지원이 이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30대 매입 비중은 작년 4분기(25.0%)보다 1.1%포인트 증가한 26.1%로 조사됐다.

이 비중은 2022년까지 40대가 1위였다. 작년 1∼3분기에는 30대의 매입 비중이 40대를 추월하긴 했지만 4분기 들어 40대의 매입 비중이 25.4%로 30대의 매입 비중(25.0%)을 다시 앞섰다. 작년 9월 말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6억∼9억원) 대출 중단과 집값 하락 등의 영향이란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하지만 올해 1월 말부터 신생아 특례대출이 시행되면서 올해 1분기 30대 매입 비중이 다시 높아졌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출산 2년 내 신생아 자녀를 둔 가정에 특례보금자리론(4%)보다 낮은 연 1∼3%대의 낮은 금리로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형 이하 주택을 구매할 때 최대 5억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다.

2019년부터 30대의 매입 비중이 전체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서울 아파트 시장의 경우 같은 기간 31.3%에서 32.4%로 높아졌다.

자치구별 30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은 동대문구(29.9%→36.2%), 성북구(30.6%→38.3%), 강북구(25.9%→31.1%), 노원구(30.3%→31.9%) 등지에서 각각 커졌다.

신생아 특례대출 대상이 9억원 이하여서 주로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강북지역에서 30대의 증가 폭이 두드러진 것이다.

이밖에도 금천구(39.3%), 강서구(38.6%), 관악구(37.2%), 마포구(36.1%), 송파구(31.5%), 양천구(31.3%) 등이 직전 분기보다 30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확대됐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