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를 줄이고 수소 에너지를 확대하는 등 탄소 중립을 추진하는 가운데 항만의 대응 전략으로 친환경 장비 전환과 자체 발전 에너지 확보 등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 강화로 친환경 항만 확보가 우선돼야 하고, 국제사회의 공조를 통한 글로벌 스탠더드에 발맞춰 나가는 행보가 필요하다는 관측이다.

1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내 항만들은 수소·암모니아 인수기지, 저장시설, 배관망 등을 확보하고 친환경 선박 연료 공급시설 구축 등을 위한 로드맵을 추진 중이다.

정부의 친환경 항만 구축 대책이 항만 시설에 집중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현재의 항만 시설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항만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추정해 보면 63~65%에 달하는 탄소가 항만 장비에서 배출된다. 항만 장비를 어떻게 수소와 같은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는가가 탄소중립 항만 구축의 핵심인 셈이다.

김세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실장은 “항만의 탄소 중립은 친환경 장비로의 전환과 항만에서의 에너지 자체 발전, 선박의 친환경 에너지 구비, 친환경 에너지의 수입 등이 주요 골자”라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해외 사례 등을 통해 전략을 수립하고 진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우리나라는 아직 친환경 전환 속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늦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친환경 해양 인프라 시장을 점유하기 위한 변화와 노력이 속도감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일례로 우리 항만이 선박에 메탄올이나 암모니아 등 대안 연료를 제공해 다른 항만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유인책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김 실장은 “현재 해수부에서 2050년 탄소중립 항만 구축 기본 계획을 수립 중”이라며 “항만 내에서의 탄소 중립과 에너지의 플랫폼으로서 탄소, 이 두 가지 큰 카테고리를 정해 목표 수립과 이행 방안을 정해 지금 그 전략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 해수부는 2050년까지 항만 내에서의 탄소 중립과 에너지의 플랫폼으로서의 탄소 이행 방안을 수립해 현재 장비 전환 계획과 이를 위한 전기 및 수소 충전소 계획을 검토 중이다.

한편 해외 주요 선진 항만들은 탄소중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톈진이나 칭다오 등 거대 항만에서는 수소 연료로 사용하는 항만 장비 트레일러들을 운영 중이며, 상하이시는 상하이항을 국제 수소 운송 거점으로 구축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일본 고베항은 호주에서 생산된 수소를 액화 상태로 운송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고, 지난해 초 시범 운항을 완료한 상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