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반써밋 인천검단 AB19블록' 단지 모형도
수도권의 한 아파트 견본주택을 찾은 예비 청약자들이 단지 모형도를 살펴보고 있다./전원준 기자

올 들어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의 공급 실적이 당초 계획의 30%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잿값·인건비 상승에 따른 공사비 급등과 고금리 장기화 속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색 위기 등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14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조사에 따르면 올해(5월 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의 계획대비 공급실적은 27.7% 수준으로 집계됐다. 연초 계획한 33만5822가구 중 9만2954가구만 분양된 것이다.

지역별로 공급실적 편차가 큰 실정이다. 광주는 2만811가구 중 1만1889가구(57.1%)를 분양했다. 이밖에 제주도(49.4%), 전북(45.6%), 강원(44.1%) 등도 원활한 공급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경기(26.3%), 경남(22.7%), 충북(21.1%), 부산(16.9%), 서울(13.6%), 대구(12.7%), 세종(0%) 등은 연내 아파트 분양 진도율이 저조한 상황이다. 지역 내 미분양 적체 현상이 장기화 하거나 도시정비사업 조합과 시공사 간 공사비 갈등이 커지며 공급 일정이 미뤄진 영향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고금리, PF 대출 냉각, 원자재 가격 인상, 미분양 적체 등 여러 요인이 맞물려 고분양가, 지역별 청약 양극화, 아파트 분양(공급) 진도율 저조 문제를 낳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