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금융권의 부동산업 대출이 6년간 300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대출이 증가하면서 기업부채도 급증했다.

20일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기업 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기업 부채 규모가 지난해 말 2734조원으로 2018년부터 6년간 1036조원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연평균 증가율인 8.3%는 연평균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3.4%)의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명목GDP 대비 기업 부채 비율도 2017년 말 92.5%에서 지난해 말 122.3%로 치솟았다.

주체별로는 민간기업(+919조원, 89%), 형태별로는 금융기관 대출금(+808조원, 78%)이 늘었다.

공급기관별로는 비은행(연평균 증가율 +13.1%, 은행권 +7.9%)이 상승을 주도했다.

다만 2022년 이후에는 금리 상승 등으로 비은행 대출 둔화로 지난해 증가율은 4.5%로 코로나 이전(2010~2019년) 장기평균(4.9%)을 밑돌았다.

부분별로 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 전체의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540조 6000억원으로 2017년보다 300조 9000억원 늘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 경기가 뜨거워지면서 투자‧개발 수요가 늘고 금융권도 적극적으로 대출에 나선 영향이다.

실제 2017∼2019년 연평균 24조원 수준이던 개입사업자 대출 증가 폭은 코로나19 피해 기업 보증 지원과 대출 상환 유예의 영향으로 2020∼2022년에는 연평균 54조원으로 뛰었다.

부동산 관련 부채 증가는 주요국에 비해서도 두드러졌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부동산업 대출 연평균 증가율은 15% 내외로 주요국(5~10%)에 비해 높은 수준을 지속했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부동산업 대출 비중은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주요국과 비슷했다.

하지만 2022년 말 24.0%로 유로(14.7%), 호주(12.0%), 미국(11.3%), 영국(8.7%)을 크게 웃도는 수준까지 높아졌다.

소상공인·자영업자 등에 대한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도 기업부채 급증의 원인으로 꼽혔다.

개인사업자대출 연간 증가규모는 2017~2019년 연평균 24조원에서 2020~2022년 54조원으로 확대됐다.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보증지원, 대출상환 유에 등 조치 영향이다.

또 2020년 이후 업황부진에 따른 영업자금 수요와 시설투자자금 수요가 대기업을 중심으로 모두 늘어나 국내 기업부채 증가세를 확대하는 쪽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업과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일반 기업은 2020년 이후 대기업을 중심으로 업황 부진에 따라 영업자금과 시설투자자금 수요가 모두 늘면서 부채가 증가했다.

전체 일반 기업 차입 부채 대비 한계기업 부채 비율은 2021년 말 14.7%에서 2022년 말 17.1%로 높아졌다.

은행 대기업 대출도 최근 들어 증가세다.

지난 2월 기준 시설자금 대출은 전년 동월 대비 15.9% 늘었고, 운전자금 대출도 14.5% 증가했다.

반도체‧석유화학‧2차전지 등 업종에서 국내외 대규모 생산시설을 확충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지면서다.

연구진은 기업부채 총량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부문별 특성에 맞게 리스크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부동산 부문과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일반 기업의 경우 부채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본확충이 동반되면서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며 “고금리 등으로 이자상환 부담이 증가해 한계기업의 부채 비중이 확대되는 점 등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시간 인기기사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