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전국 아파트값이 반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서울은 오름폭을 키우며 9주 연속 상승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셋째 주(2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01% 올랐다. 지난해 11월 4째 주(20일 기준) 이후 26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02% 오르며 4월 둘째 주(0.01%) 이후 한 달 만에 재상승했다. 특히 서울(0.03%→0.05%)은 오름폭을 키우며 9주째 상승세를 탔다. 강북(한강 이북지역)에선 성동(0.19%)·서대문(0.09%)·마포구(0.09%) 등지에서 올랐다. 강남(한강 이남지역)에선 송파(0.08%)·영등포(0.07%)·동작(0.07%)·양천구(0.06%) 위주로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관망세가 지속 중인 상황이지만,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및 선호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인천(0.02%→0.08%)도 오름폭을 키웠다. 서구(0.12%)·중구(0.11%)·미추홀구(0.10%)·부평구(0.10%) 등이 상승한 영향이다.

경기(-0.02%→-0.01%)는 낙폭을 줄였다. 안양 동안구(0.15%)와 수원 영통구(0.09%), 여주시(0.07%) 등은 오른 반면 광주(-0.12%)·양주(-0.11%)·안성시(-0.11%) 등지는 하락했다.

지방은 보합(0.00%)을 기록하며 26주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5월 셋째 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전국 아파트 전셋값도 상승세를 탔다. 이번 주 0.07% 올라 지난주(0.03%)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0.07%→0.10%)도 상승폭을 확대하며 53주째 오름세를 탔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정주여건이 양호한 신축·대단지 등 선호도 높은 단지 위주로 갱신계약이 이뤄지고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상승세를 이어 가고 있다”며 “구축 단지도 저가 매물을 빠르게 소진하며 상승폭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같은 기간 인천(0.12%→0.22%)과 경기(0.07%→0.11%) 아파트 전셋값 역시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