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혁신 관련 정책심포지움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DB]

“생성형 AI는 금융 서비스의 개인화와 자산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AI 활용법에 대한 현업 이해도를 높이고, 금융 분야 관련 AI 거버넌스 체계를 갖춰야 합니다.”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금융연구원·한국금융학회 공동 정책심포지움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센터장은 “최근 사람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모달 AI’나 단일 기능 외 전체 업무를 연결하는 ‘협동 에이전트 봇’ 등 생성형 AI가 고도화되며 역설적이게도 인간중심적 사고가 강조되고 있다”며 “생성형 AI는 지속해서 진화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모델 자체보다 기술 도입 환경을 먼저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속가능한 운영 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조직 내 AI 기술 수용력이 있어야 한다고 봤다. 그는 “경영진, 기술진, 현업의 기대치와 눈높이를 맞추는 노력을 통해 검색, 챗봇, 요약 등 기술 활용 방법에 대한 현업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I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필요성도 역설했다. 오 센터장은 “AI 편향성으로 인한 차별, 개인 프라이버시 왜곡 등의 문제는 정량적으로는 금융사의 매출을 축소하고, 소송 문제에 휘말리게 만들 수도 있다”며 “더 큰 문제는 결국 금융사의 신뢰도를 떨어트려 고객 이탈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B국민은행은 최근 본부 직속팀인 ‘AI거버넌스팀’을 신설했다. 이 팀에서는 AI 거버넌스와 관련한 가이드라인 수립과 리스크 관리를 맡는다. 견제의 기능에 충실하기 위해 AI 조직과는 완전 분리돼 있다.

오 센터장은 “생성형 AI 도입에 따른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대규모 컴퓨팅 투자에 대한 방향성 △AI 편향과 허위 정보 생성 △사이버보안 위험 등에 대한 금융사의 고민이 필요하다”며 “악성으로 진화하는 AI를 막기 위해 유연한 금융정책이 함께 동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권 AI 활성화를 위해 당국 차원에서는 AI 지원과 감독의 역할을 균형감 있게 다룰 계획이다. 전요섭 금융위원회 금융혁신단장은 “금융권에 특화된 AI 인프라를 마련하고 기업이 자체적인 책임체계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금융권의 AI 신뢰도 확보 방안을 검토해 나가겠다”며 “AI와 클라우드, 탈중앙화 플랫폼 등 미래 디지털 금융혁신과 관련한 핵심 주제에 대해 필요한 제도개선 과제를 검토·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