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최근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일자리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과 달리 이공계 대졸자의 배출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해 미래 과학기술 분야의 인력난이 심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근 과학기술인력의 고용특성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총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는 약 196만명으로 2020~2023년 4년간 연평균 5.3% 증가했다.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지난 2021년 이후 인력 증가세가 빨라지고 있는 모습이다.

반면 이공계열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의 배출은 저조한 실정이다. 국내 이공계 학사·석사·박사학위 소지자는 지난 2020년 495만1000명에서 지난해 566만명으로 늘었는데, 같은 기간 연평균 증가율은 3.6%에 그쳤다. 이는 결국 과학기술 분야의 고등교육 인력양성이 일자리 창출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최근 산업계의 과학기술 인력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인력의 양적 공급 부족 및 질적 미스매치 문제가 여전해 향후 과학기술 분야 인력난 심화에 따른 국가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또 세부 분야별로 따져보면 과학전문가의 경우 10만3000명으로 지난 4년간 연평균 7.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30대 인력이 69.2%를 차지해 정보통신전문가나 공학전문가 보다 젊은 인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다.

학력은 석사·박사 학위를 소지한 고학력자 비중이 56.2%(5.8만명)로 전체 노동시장은 물론 정보통신전문가, 공학전문가 인력에 비해 높았다. 임금수준은 월 평균 440만원이었고, 남성·고학력(박사급) 인력 중심으로 임금수준이 높았다.

이밖에도 경총은 정보통신전문가는 높은 남성 비중과 인력 미스매치 심화가 눈에 띄고, 공학전문가는 상대적 고임금과 인력 고령화 현상 등의 특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 팀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과학기술 인재 확보가 최우선 과제인 만큼 대학 교육시스템 혁신·청년 및 여성인력 활용 확대 등을 포함한 다각적 인재 육성 정책과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과학기술 분야별로 인력 특성이 상이하게 분석된 점을 고려해 분야별 맞춤형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