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우리나라 기업이 제조업의 핵심인 광물 경쟁에서 주요 국가에 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국내외 핵심 광물 광산 수와 생산량이 부족한 것인데, 지정학적 긴장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공급망 리스크가 우리 경제에 뇌관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핵심 광물 확보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 데이터가 바탕이 됐다.

한경협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기업이 보유한 핵심 광물 광산 수는 36개였는데, 이는 중국(1992개)과 미국(1976개)은 물론 일본(134개)보다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아연·납·철광석·니켈·리튬·코발트 등 핵심 광물 7종도 우리나라의 귀속 생산량은 낮았다. 국내 기업의 귀속 생산량이 전 세계 총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종(동 0.2%, 아연 0%, 납 0%, 철광석 0.4%, 니켈 1.0%, 리튬 0%, 코발트 1.0%) 모두 1% 이하에 그쳤다. 귀속 생산량은 광산의 총생산량에 기업 지분율을 곱한 값을 의미한다. 반면 일본 기업은 동·아연·철광석 등에서 귀속 생산량 비중이 1%를 넘겼다.

이차 전지의 핵심 광물인 니켈, 리튬, 코발트 등도 세계 생산량이 특정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니켈은 인도네시아가 53.1%로 가장 높았고, 리튬과 코발트는 각각 호주(46.9%)와 콩고민주공화국(68.6%)가 1위였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에 활용되는 황산니켈은 핀란드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68.2%였고, 산화리튬과 수산화리튬은 중국 수입 비중이 무려 87.9%에 달했다.

한경협은 핵심 광물은 경제안보와 연결돼 있어 안정적 수급이 중요한 만큼 국가 전략적인 관점에서 해외 광산의 지분을 늘리고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이 핵심광물을 확보하려면 실제 생산이 시작되기 전 단계부터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한게 현실”이라며 “민간의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정책 금융 프로그램 강화, 자원 수출국 정부와의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 등 정부의 종합적 지원 패키지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