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 중형·중소기업들의 전환사채(CB) 발행이 늘었다. 고금리 상황에서 낮은 신용등급으로 인해 회사채나 기업어음(CP) 등의 발행비용 부담이 여전했고, 건전성 관리를 이유로 은행의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졌다. CB에 더욱 의존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CB는 사채로 발행됐지만, 일정한 조건에 따라 발행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이다. 쉽게 말하면 주식(미래에 발행할 신주)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채권이라 할 수 있다. 주식 전환권 부여로 발행비용(이자 지급)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주식 전환권으로 인한 최대 주주 지분율 희석과 주가 하락 가능성, 조기상환 청구 시 유동성 우려 등 단점이 존재한다.

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5월 발행된 CB 규모는 2조53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7% 증가했다. CB 발행 건수는 160건으로 10건이 줄었음에도, 발행액 차제는 커졌다.

CB는 코스닥·중소형사 중심으로 발행이 이뤄진다. 신주를 담보로 자금을 빌리는 구조인 만큼, 이자 비용 등이 일반 사채에 비해 낮아 당장의 비용 부담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5월 CB 발행 건수에서 코스닥 상장사가 차지한 비중은 80.6%(129건)에 달했다. 비상장사가 15%(7건), 코스피 상장사가 4.4%(7건)이었다.

단점도 분명하다. 주식 전환권이 행사될 경우 유통 주식 수 증가로 최대 주주 지분율 희석이 발생한다. 전환권 행사에 따른 지배력 약화를 피할 수 없다. 여기에 전환권 행사는 일반적으로 시가보다 낮은 가격의 신주가 발행되기에, 주가 희석으로 인한 주가 하락도 전망된다. 기존 주주들의 불만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발행 기업이 주가 성장세를 보이지 못할 경우 투자자는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도 있다. 투자자로서는 시세차익 가능성이 작다는 생각이 든다면, 이자수익도 크지 않은 CB를 만기까지 보유할 이유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계획보다 빠른 상환 요구가 발생할 경우, 현금 유동성 문제 등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럼에도 CB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증가했다는 것은 결국 코스닥 상장사들의 자금조달 환경이 그리 좋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회사채의 경우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인해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회사채 발행 규모가 증가했지만, 이는 우량채(신용등급 AA 이상) 중심의 결과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높은 발행 이자에도 불구하고 완판도 쉽지 않았다. 그렇다고 이자 비용과 짧은 만기에 따른 상환 부담이 큰 CP를 선택하기도 어려웠다. 실제 올해 1~5월 CP 순 발행액은 마이너스 7조9250억원으로, 상환하는 추세를 보였다.

은행 대출 문턱을 넘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를 이유로 대기업 대출에 집중하면서 중소형 기업이 대출이 더욱 힘들어졌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 1분기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기술 신용대출(신용이나 담보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기술력 등을 담보로 해 대출을 받는 전용 상품) 잔액은 152조52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줄었다. 누적 건수 또한 34만3170건으로 23.1% 감소했다.

기준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외국인 투자가 이탈, 증시가 정체된 상황 또한 부정적이다. 코스닥 지수는 4월 1일 912.45를 기록하며 천스닥 기대감을 키우기도 했지만, 지난달 31일 839.98로 마감하는 등 다시 800대에 갇혔다. 증시가 지지부진할 경우 조기상환 청구로 인해 당장 이를 상환할 현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한 코스닥 상장사 재무 담당자는 “금리 상황 등을 고려할 때 CB를 통한 자금조달 의존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초기 발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은 분명하지만, 신주발행 관련 이슈와 조기상환 가능성 등 리스크도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