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 9년 만에 '희망퇴직' 실시

메리츠화재가 9년 만에 특별퇴직을 실시한다. 최근 보험사들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보험산업도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조직 슬림화와 이를 통한 우수 인재 영입 및 재배치 등을 통해 이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최근 3~4년 간 꾸준한 실적 개선세를 보이며 손해보험업계 1위 자리까지 넘보던 메리차화재가 특별퇴직에 나서면서 타 보험사까지 이같은 움직임이 확산될 지 주목된다.

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이날 전 직원들에게 ‘2024년 특별퇴직 기준(안)’을 공지했다. 안내문에 따르면 희망퇴직 대상은 30세 이상의 일반직군 및 사무지원직군 직원으로 직금과 근속년수 등을 기준으로 최대 38개월 분의 특별퇴직금과 자녀학자금지원금(2000만 원), 전직지원금(2000만 원), 의료지원금(1000만 원)을 받게 된다. 임금피크제가 적용되는 직원이 특별퇴직을 신청할 경우 임피 미적용 직원 조건에 정년까지 잔여근무월수를 60개월로 나눈 값을 곱해 퇴직금으로 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준 메리츠화재의 직원 평균 연봉은 1억 3000만 원 정도로 최대 38개월의 특별퇴직금을 받을 경우 기본 퇴직금을 포함해 최대 5억 원 정도를 지급받을 것으로 추산된다.

메리츠화재는 김용범 부회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한 직후인 2015년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시 메리츠화재는 방만한 인력 운용 등으로 업계 1위였던 삼성화재의 순이익(2014년 기준)의 7분의 1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김 부회장은 과감한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실시한 바 있다.

메리츠화재는 올해 실시되는 특별퇴직은 9년 전과는 목적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회사가 어렵거나 구조조정 목적으로 진행하는 희망퇴직이 아니라 특별퇴직 형식”이라며 “그 동안 이런 제도를 운용하지 않아서 노조와 직원들 내부에서부터 필요성이 제기돼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역대 최대인 1조 5748억 원을 기록해 전년(1조 2500억 원)보다 25%가량 증가했다. 이에 따라 손보업계 1위인 삼성화재(1조 8216억 원)와의 격차가 크게 줄어드는 등 최근 3~4년 사이 급성장을 해왔다. 성과에 따른 보상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했고, 수익성 중심의 영업을 강화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메리츠화재는 회사가 잘 나가고 있기 때문에 특별퇴직을 실시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성과가 좋을 때 최대한의 보상을 제공해 인력 적체 등을 해소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우수 인재를 영입하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회사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제2의 인생을 원하는 직원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우수인재 영입과 재배치를 통해 조직의 선순환을 추진할 것”이라며 “젊고 생동감있는 조직으로 변화해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회사 성장에 기여한 직원들에 대해서는 합당한 예우를 갖추겠다”고 강조했다.

보험업계에서는 갑작스러운 메리츠화재의 특별퇴직제도 시행을 눈여겨 보고 있다. 보험사는 은행과 달리 정기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하지 않는다. 가장 최근 희망퇴직제도를 시행한 보험사는 지난해 흥국화재와 현대해상 정도가 꼽힌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보험사 중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조직으로 평가받는 메리츠화재가 선제적으로 특별퇴직을 실시한다는 점에서 다른 보험사들도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인력 이동 등도 활발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