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사진연합뉴스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사진=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사도 광산’에 대해 대상 기간을 에도시대(1603∼1868)로 한정해 강제동원 문제와는 상관없다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4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상은 이날 “핵심은 에도 시기”라며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 강제노동에 동원된 시기인 ‘메이지(1868∼1912) 이후’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에도 시기에 손으로 (금을) 채굴했다는 것이 포인트”라고 강조하면서 “세계 광산에서 기계화가 진행되는 16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전통적인 수공업으로 세계 최대급, 최고 품질의 금 생산을 실현했다”고 사도 광산의 가치를 주장했다.

일본은 사도 광산의 세계 유산 가치와 강제노동 문제와는 상관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상 시기에서 근대를 배제하는 방법으로 비판을 피해가면서 사도 광산이 ‘일본 전통의 금생산 기술과 체제’로서 가치가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실제 일본은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신청하면서 유산 명칭을 ‘사도섬의 금산(金山)’으로 명명하고, 대상 시기도 에도 시기인 16세기에서 19세기 중반으로 한정했다.

세계유산위원회 자문기구인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 사도 광산 심사 결과가 이르면 이번 주 공개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모리야마 문부과학상은 “이제 곧 나올 것 같다”며 “문화적 가치가 평가되는 것을 기대하며 행운을 기다리겠다”고 언급했다.

이코모스는 각국이 신청한 유산을 조사한 뒤 ‘등재 권고’, ‘보류’, ‘반려’, ‘등재 불가’ 등 네 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택해 당사국에 전달한다.

앞서 2015년 일본은 1940년대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군함도를 포함한 ‘메이지시대 산업혁명 유산’ 등재를 추진 당시에도 같은 방법으로 논란을 피해가고자 했다. 유산의 대상 시기를 1850년부터 1910년까지로 한정해 등재에 성공했지만 당시 이코모스는 ‘등재’ 의견과 함께 일본 측에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할 것을 함께 권고했다.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등재 시도는 이번이 두 번째로, 이번에야말로 등재되리라는 기대감이 높다. 2022년 2월에도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신청서를 냈지만 서류상 미비점을 지적받아 지난해 1월에 다시 신청서를 제출했다.

사도 광산의 최종 등재 여부는 7월 하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 정부는 강제노역 시기인 일제강점기를 포함해 사도 광산의 전체 역사가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단 양국 정부 모두 이 문제가 한일 관계 흐름에 지장이 되어선 안된다는 공감대는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