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앙아시아 경제협력 확대 방안 보고서 발간

카자흐스탄 등 3개국 중심 유망 분야 6개 선정

중앙아시아 5개국 GDP 추이 및 전망. ⓒ한국무역협회

우리나라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를 위해 민관 공동의 전략적 현지 진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6일 발간한 ‘한-중앙아시아 경제협력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러시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외협력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 중국, EU 등 주요국들도 ‘중앙아시아 5개국+1’ 형태의 정상회의를 개최하며 역내 안보, 자원‧에너지, 물류 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채널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2년 수교 이후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경제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對)중앙아시아 5개국 수출액은 56억4000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자동차 부품 등 특정 품목에 편중돼있어 수출 다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투자 부문 협력도 아직 미미한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1980년부터 2023년까지 우리나라의 대중앙아시아 5개국 누적 투자액은 38억 달러로, 같은 기간 동안 대미 투자액(2223억 달러)의 1.7%, 대미 투자액(936억 달러)의 4.1% 수준에 불과했다.

이에 보고서는 중앙아시아에서 경제적 영향력이 큰 3개국(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각국의 주요 산업정책과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자원・에너지 ▲도시 인프라 ▲ICT ▲보건・의료 ▲스마트팜 ▲자동차 분야의 협력이 유망하다고 제시했다.

보고서는 카자흐스탄 스마트팜, 우즈베키스탄의 자동차 산업도 주목할 분야로 제시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GDP의 5%를 차지하는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을 위해 스마트팜 산업 육성에 적극적이다.

송효규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경제 전반에 정부의 영향력이 크게 미치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특성상 정부 차원의 협의 채널 활성화가 양 지역 간 경제협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민관 공동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실질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우리 기업의 현지 비즈니스 여건을 개선해 나가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개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