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추’ ‘가족의 탄생’ 김태용 감독의 신작 ‘원더랜드’가 SF적인 상상력에 감성을 덧입힌 독보적인 장르물로 관객을 찾아온다.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원더랜드’는 극중에서 죽거나 이에 준하는 상태에 있는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영상통화 서비스로 등장한다. 영화는 크게 바이리(탕웨이), 그리고 정인(수지)과 태주(박보검) 커플, ‘원더랜드’ 서비스의 플래너 해리(정유미)와 현수(최우식)의 이야기 세가지 골자로 진행되는 옴니버스 형식을 취하고 있다.

‘원더랜드’는 서사의 중심에 있는 영상통화 서비스를 이해시키는데부터 시작한다. 자신의 죽음을 인지하지 못한 채 출장을 가기 위해 공항에 앉아있는 ‘바이리’는 관객을 영화의 세계로 인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세 개의 이야기는 각각 그리움과 이별에 대한 다른 시각을 보여준다. ‘바이리’가 모친의 반대를 무릅쓰고 ‘원더랜드’ 서비스를 신청하며 죽음을 준비한 이유에는 딸 ‘지아’가 있다. AI ‘바이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모친과 AI ‘바이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가는 ‘지아’는 서비스로 갈등을 빚는다. 이 가운데 AI ‘바이리’는 모친의 사뭇 냉정한 태도에 

‘태주’의 의식불명 상태가 길어지며 지칠대로 지친 ‘정인’에게 AI ‘태주’는 일상을 유지하는 큰 힘이 되어준다. 현실에서 ‘태주’가 긴 잠에서 깨어나며 ‘정인’의 일상에는 예상치 못한 균열이 찾아온다. ‘정인’은 자신이 그리워하던 대상과 실제 ‘태주’ 사이에서의 혼란, 그리고 AI ‘태주’에 대한 복합적인 감정 속에 조금씩 침몰되기 시작한다. 

’원더랜드’는 자칫 이질감이 느껴질 수도 있는 인공지능이라는 근미래적인 소재와 드라마 장르를 조합을 잘 버무려낸 영화다. 인간과 인간에 의해 창조된 AI가 상호간 작용으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서사가 지금껏 본 적 없는 묘한 감동을 만들어낸다. 줄곧 차갑게만 다뤄져온 인공지능이나 미래 기술을 따뜻하게 그려냈다는 것도 ‘원더랜드’만의 특징이다.

하지만 감성을 자극하는 연출 속에 다소 부자연스러운 장면들도 등장한다. 특히 ‘정인’과 ‘태주’ 커플의 초반 장면들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때도 이른바 ‘항마력’이 필요하다는 느낌을 준다. 옴니버스식 전개가 이어지다 보니 인물들의 서사가 중간 중간 끊겨 있어 납득하기 힘든 감정선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더랜드’는 결국 관객의 눈물샘을 터트린다. 모성애나 연인간의 사랑 등 가장 원초적인 감정을 건드린다. 

화려한 멀티 캐스팅은 그 이름값을 톡톡히 해냈다. 탕웨이는 딸이자 어머니인 ‘바이린’의 복합적인 입장을 관객에게 충분히 설득시킨다. ‘원더랜드’ 세계의 중심에 있는 ‘바이린’이 중심을 잡아주며 큰 감동을 관객에게 선사한다.

1인 2역을 소화해낸 박보검과 연인의 현실적인 감정을 짚어낸 수지, 사무적인 관계지만 서로를 가장 가까이서 지켜보는 정유미와 최우식의 관계성까지. 다소 산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야기를 하나로 단단하게 응집시킨다.

한편 영화 ‘원더랜드’는 6월 5일 개봉한다. 12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13분.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