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용 PD와 서혜진 대표
이국용 PD와 서혜진 대표
[티브이데일리 김진석 기자] 서혜진 크레아 스튜디오 대표는 수많은 트로트스타를 발굴하고, 대한민국을 트로트로 물들게 한 장본인이다. 그가 성인가요를 일본에 진출시킨 뒤, 이번엔 15세 이하 걸그룹 제작에 나선다. 그는 오디션 프로그램에 베리에이션을 주며 끊임없이 도전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한일가왕전’은 ‘현역가왕’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선발된 TOP7 멤버와 일본의 프로그램인 ‘트롯 걸스 제팬'(TROT GIRLS JAPAN)에서 일본 국가대표로 선발된 TOP7이 대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언더피프틴’은 15세 이하 보컬 신동들을 대상으로 한 걸그룹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서혜진 대표는 앞서 TV조선 예능프로그램 ‘미스트롯’, ‘미스터트롯’ 시리즈를 기획하고 대한민국에 트로트 열풍을 불게 한 바 있다. 그는 독립 후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를 설립, MBN 예능프로그램 ‘불타는 트롯맨’과 ‘현역가왕’ 등을 제작하며 트로트 콘텐츠를 해외로 진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중 최근 종영한 ‘한일가왕전’에 대해 서 대표는 “처음 가보는 길이었다. 플랫폼을 뚫는데만 1년 반이 걸렸다. 반응이 미미했다가 ‘트롯걸 재팬’ 이후 한일전을 하면서 한국에서 일본 아티스트들에 대한 반응이 나오니 일본에서 놀랐다”라며 “‘일한가왕전’은 7월에 플랫폼 발표를 할 예정이다”라고 예고했다. 그는 “‘현역가왕’ 남자 편은 플랫폼이 매우 중요하다. 공중파를 컨택 중이다. 현재는 겨우 싹을 틔웠으니 묘목까지 한번 키워볼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티브이데일리 포토

그가 지켜본 일본의 성인가요 시장의 잠재력은 어땠을까. 서 대표는 “추정할만한 데이터가 아직은 미미하다”라며 “한일가왕전 콘서트를 양국으로 준비 중이다. 그런 콘서트를 통해서 일본의 유료 관객들의 데이터를 그때나 알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일본은 아직 데이터를 모아볼 만한 데이터가 아직은 부족하다. 남자 편까지 해봐야 일본 성인가요 시장의 분류 볼륨과 액수가 나올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서 대표가 성인가요 시장에 계속 도전하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는 “한국도 인구구조가 노화되고 있는 상태다. 일본은 30년 먼저 숙성된 성인가요 시장이 있었다. 트롯 오디션이란 것은 처음에 이미 있는 성인가요 시장에 젊은 가수들이 들어가면서 기존의 노래들을 리뉴얼하면서 시장이 확장됐다. 일본의 J팝 시장이 무르익어 있는데, 70-80-90의 노래들이 가요다. 추억하는 연령층과 인구의 구조가 그렇다”라고 말했다.

개척한 길에 후발주자들이 뒤를 잇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서 대표는 “별 감정은 없다. 안타까운 마음도 없다. 누구든 할 수 있으나 실물화를 시켜 결과를 얻어내야 한다. 발전을 시키고 못 시키고는 또 다른 역량의 측면이기에 우리는 우리의 갈 길을 가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성공 노하우에 대해선 “제 능력은 아니고, 저희 이 모든 오디션을 하자고 대화를 연 사람은 노윤 작가다. 트레이닝을 시키고 시스템을 구축한건 작가다. 그런 작가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라고 겸손하게 말했다.

더불어 서 대표는 가지고 있는 신념과 가치관을 “시청자는 무섭다”라고 전했다. 그는 “시청자는 무섭고 오디션은 유기체 같아서 한 주 한 주 방송을 하고 데이터를 받고, 계속 고쳐나가는 게 저희 장점이지만, 이를 놓치지 않으려 한다. 무섭고 질타도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선 두려움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티브이데일리 포토

그러나 서혜진 대표는 성인가요 시장에 특화된 회사 이미지에 베리에이션을 주겠다고 다짐했단다. 연령대를 낮추고, 신동들의 재능을 살피는 안목이 특출 나다는 점을 이용해 보컬에 강점이 있는 재목들을 모으는 ‘언더피프틴’을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숏폼 콘텐츠로 인해 30초짜리 스타들이 많은 상황 속, 완곡이 가능한 신동들을 발굴하는 게 자신의 일이라고 전했다.

대형 가요 기획사도 해외에서 인재 발굴을 이어가는 시기, ‘언더피프틴’을 선택해야 이유로 서 대표는 “사실 연습생으로 들어갈 나이가 아니다. 우리만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차별성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트레이닝과 캐릭터라이징이란 조건으로 시스템을 구축해 매력 있는 가수를 만드려고 한다”라고 설명했다. 우승자에 대한 혜택으론 “2년 정도만 같이 활동하고 계약을 할 수도 있고, 모든 건 열어놓고 있다. 우리가 좋은 재능이 있는 친구들을 먼저 발굴했다는 걸 보여주려는 새로운 프로젝트다”라고 설명했다.

회사 창립 당시 크레아 스튜디오의 IP확보를 중요시 여겼다는 서 대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남의 돈을 벌어주기가 싫었다”라며 “남의 이름을 빛나게 하는 조연이 되기 싫었고 남의 돈을 벌어주는데 노동을 하기에 내 시간을 쓰기 싫었다”라고 솔직하게 털어놓기도 했다.

그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도 전했다. 서 대표는 “오디션 특화에 베리에이션을 주고 국제 시장을 겨냥한다는 생각을 가진 게 첫 번째 목표였다. 안정된 플랫폼도 중요했다. 내년까지 기반을 닦는 시간이라고 생각을 한다. 또 여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IP를 확보해서 회사의 IP를 다양하게 하는 것이 두 번째 목표”라고 설명을 더했다.

[티브이데일리 김진석 기자 news@tvdaily.co.kr/사진제공=크레아스튜디오]

기사제보 news@tvdaily.co.kr        김진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