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목소리나 숨소리가 귀에서 크게 울려들리는 자가강청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갑자기 체중이 빠지면 이관개방증을 의심할 수 있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 최근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팀에 투입된 김씨(29·여)는 2개월 동안 기존 업무와 프로젝트 업무를 병행해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를 받았고 체중은 5㎏ 줄었다. 어느 날 모든 소리가 예민하게 들리기 시작했고 귀가 물속에 들어간 것처럼 먹먹하게 느껴졌다. 말소리나 숨소리가 귀에서 울리기 시작해 심각성을 느낀 김씨는 병원을 찾았고 이관개방증을 진단받았다.

이관은 코와 귀를 연결해 외부 기압과 중이의 압력을 맞춰주는 수도 파이프처럼 생긴 기관으로 유스타키오관이라고도 불린다. 침을 삼키거나 하품할 때 잠시 열렸다 닫히면서 외부와 중이의 압력을 맞춰준다.

이관개방증은 평상시 닫혀있다가 상황에 맞게 열리고 닫혀야 하는 이관이 항상 열려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관개방증이 발병하면 자신의 목소리나 숨소리가 귀에서 크게 울려들리는 자가강청 증상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귀가 물속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먹먹하고 청력이 떨어진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증상 때문에 청력이 떨어지는 질환인 돌발성 난청이나 메니에르병으로 혼동하기 쉽다.

뇌혈관 질환, 운동신경섬유 질환, 다발성 경화증 등 근육을 위축하는 질환이 이관개방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임신 등 호르몬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관은 근육으로 구성돼 급격히 체중이 줄어들면 이관의 근육이 감소해 이관개방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박의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다이어트로 체중을 감량한 경우가 아니라면 급격한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되는 다른 질환을 찾아보는 검사가 꼭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관개방증 증상은 자연스럽게 호전될 수 있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박 교수는 “이관개방증은 항콜린 효과를 갖는 비강스프레이제를 통해 쉽게 치료할 수 있으며 증상이 지속된다면 환기관 삽입술이나 열린 이관에 필러나 지방, 연골 등을 주입하는 수술을 할 수 있다”며 “급격한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질환이나 근육을 위축하는 질환이 동반됐을 수 있으니 증상이 지속된다면 빠르게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