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를 선두로 발전한 OTT(Over The Top Service)란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 교육 등의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출시 당시의 OTT서비스는 스마트 TV일부로 흡수되거나 IPTV의 서비스 중복으로 저평가될 것이란 우려가 많았으나 이런 우려를 꺾고 콘텐츠 이용매체 중 가장 강력하고 막강한 이슈를 지닌 서비스로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의 OTT서비스는 단순히 콘텐츠를 유통 및 공급하는 것을 넘어 자사만의 콘텐츠 제작에도 참여하며 서비스 시장 규모를 확대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대표적으로 넷플릭스는 유료 월정액제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TV, 영화 및 자사 제작 콘텐츠를 제공하며 OTT 산업에서 가장 우수한 동영상 콘텐츠를 자랑하고 있다.

 

모바일 시장 확대와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다변화로 인해 OTT 서비스 이용자 수가 꾸준히 늘어나자 OTT서비스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다. 미국의 대표적 콘텐츠 기업인 디즈니사는 ‘디즈니 플러스’ OTT 사업 시작을 선언하며 넷플릭스가 선점하다시피 한 OTT 산업의 질주에 가세할 전망이다. 아래에서는 OTT 서비스의 특징과 해외 및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OTT 서비스를 더욱 자세히 소개하도록 한다.

 

 

OTT 서비스 활성화 원인

 

OTT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는 원인으로는 채널 선택권의 해소, 월 정액제를 통한 양질의 콘텐츠 시청, 디지털 단말기 발전 등을 들 수 있다. 수요적 측면에서는 시청자인 소비자들의 콘텐츠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전의 소비자들은 일정치 않은 생활 패턴 등의 이유로 시청하고 싶었던 TV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지 못하여 콘텐츠에 대한 니즈를 제대로 충족시킬 수 없었다. 그러다 소비자들의 콘텐츠 시청에 대한 욕구, 니즈 등에 초점을 맞추어 OTT 서비스가 등장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넷플릭스는 케이블 방송보다 훨씬 더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파격적인 사업을 시작했고, 월 정액제 금액만 지불하면 자유롭게 TV 프로그램, 영화 등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하는 등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켜 나갔다. 이후로 OTT서비스는 콘텐츠 산업 전 영역을 주도해 나갔으며,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갈망하고, 이용 패턴에 관계없이 콘텐츠를 보고자 했던 소비자들에게 열띤 환호를 받으며 활성화될 수 있었다.

 

 

규제적 측면

 

또한 규제적 측면에서 보면 OTT 서비스는 압축된 동영상, 음악 등을 전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방송이 아닌 데이터 서비스, 콘텐츠 산업에 속하여 새로운 플랫폼으로서의 규제가 덜하다는 것이다. 규제가 약하다 보니 소비자 위주의 다양한 콘텐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또 양질의 콘텐츠를 보장하고 있어 앞으로도 더욱 활성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서비스 확장 현황

사진 : 넷플릭스

최근의 OTT 서비스는 단순히 동영상 콘텐츠를 유통, 공급하는 것을 넘어 프리미엄 동영상 제작 업체들과 협력하여 실제 자사 콘텐츠 제작에도 참여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2013년 방영한 자체 제작 콘텐츠인 하우스 오브 카드는 그 해 에미상 9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각종 수상을 휩쓸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지금도 넷플릭스는 다수의 자체 제작 드라마를 제작하고 있다. 일반적인 방송사에서 한 시즌을 방송할 때, 일주일에 한 두 개 정도 에피소드를 방영하지만 넷플릭스는 하루에 한 시즌을 모두 공개하여 시청자들에게 속이 뻥 뚫린 듯한 시청감을 안겨 주고 있다. 국내에서도 OTT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웹드라마 등을 제작, 유통하고 있는 추세다.

 

 

해외 OTT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국내 론칭 예정)

 

디즈니 플러스는 미국의 거대한 대중 매체 산업 관련 집단 그룹인 디즈니사가 넷플릭스와 직접 경쟁하고자 자체적으로 본격 운영할 OTT 서비스이다. 앞서 2007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30%, 21세기 폭스 30%, 컴캐스트 30%, 워너 브라더스가 10%의 지분을 투자해 만든 OTT 회사 ‘훌루’가 있지만 이와 상관없이 디즈니의 단독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계획이 추진되면서 2019년 4월 마침내 디즈니 플러스가 베일을 드러냈다. 디즈니 플러스는 7500편 이상의 TV시리즈, 500편 이상의 영화, 디즈니 플러스에서만 볼 수 있는 오리지널 작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전 연령대 위주로 제공하며 성인 대상 작품은 기존 훌루가 담당하게 된다. 세계적 마니아층을 보유한 인기 애니메이션인 심슨 가족의 전 시즌도 올라올 예정이며 이외에도 전 세계적 디즈니 팬들을 보유한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공개될 예정이기에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론칭은 2019년 11월 12일 먼저 이뤄졌으며,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론칭은 2020년 3월 31일이다. 한국은 2021년에 론칭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대부분의 나라가 2020년 중 론칭할 예정인 와중에 한국만 2021년이라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한 달에 적게는 7.99 달러만 내면 영화, TV프로그램과 같은 영상 콘텐츠를 마음껏 시청할 수 있는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다. 가입 시 한 달은 무료 시청이 가능하다. 2019년 기준 유료 가입자는 5700만 명에 이르며, 가입자 중 1800만 명이 해외 구독자다. 넷플릭스 회원들이 오리지널 시리즈,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하는 데 들이는 시간은 하루 평균 1억 2천 여 시간 이상이라고 한다. 넷플릭스의 모든 콘텐츠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약정이나 광고 없이 즐길 수 있다.

Apple TV+

 

Apple TV+는 2019년 11월 1일 북미를 포함한 100여개 국가에서 출시된 Apple사의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유료 구독 서비스이며 월 구독료는 4.99달러이다. 아이폰, 아이패드, mac 등 애플 기기에서 애플 TV 앱을 통해 시청 가능하다. 2019년 11월 1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며 모든 첫 이용자에게 7일 무료 체험을 제공했다. 애플 기기를 신규로 구매한 사람에게는 1년 무료 구독권을 제공하고 있다. 패밀리 서비스 기능이 있어서 한 계정 최대 6명까지 등록이 가능하다. 론칭과 동시에 대부분의 오리지널 시리즈들은 처음 3편을 우선적으로 공개하고, 일주일마다 1편씩 추가 공개할 예정이다.

 

 

국내 OTT 서비스 현황

왓챠 플레이

 

왓챠 플레이는 대한민국의 OTT 서비스이다. 2016년 1월 31일 웹 서비스를 오픈하고 5월 경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출시했다. 앱 출시 후 6개월 만에 구글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2016 올해의 앱’으로 동시 선정된 바 있다. 구글플레이가 집계한 2018년 한국 내 엔터테인먼트 카데고리 앱 중 매출 1위를 기록했으며, 2018년 가입자는 약 500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회원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매주 5백 편의 신작 업데이트와 영화, 드라마를 무제한 감상할 수 있다.

웨이브(WAVVE)

 

웨이브는 푹과 OKSUSU가 설립, 통합되어 SK텔레콤과 지상파 방송 3사가 합작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기반 OTT 서비스를 말한다. SK텔레콤이 자회사 SK브로드밴드를 통해서 운영 중이던 OKSUSU와 지상파 3사가 합작회사인 콘텐츠연합플랫폼을 통해 운영 중이던 푹을 합병하였다. 현재의 채널은 JTBC 계열사 채널들에 한하여 실시간 방송을 중계하지 않는다.

티빙(TVING)

 

티빙은 CJ 그룹 산하의 CJ ENM이 제공하는 OTT 서비스이다. 티빙은 200여 개의 라이브 채널 및 5만여 편의 VOD를 PC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TV에서 HD급의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 서비스이다. 키즈관과 오디션 끝판왕 등 자체적인 전용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NS연동을 통해서 동영상을 지인들과 공유하고, 티빙톡을 통해서 실시간 채팅을 하며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소셜 TV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시즌(seezen)

 

시즌은 KT가 선보이고 있는 OTT 서비스이다. 특성상 PC, 스마트TV에서도 지원할 수 있게 되는 WAVVE, TVING, 유튜브, 넷플릭스와 달리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지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만 올레 TV로 연동하게 될 경우 올레 TV, seezen 간 호환이 가능하다. 종편, CJ ENM 산하 채널을 포함해 다양한 실시간 채널을 제공한다. VOD 경우 지상파 3사의 다시보기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글 : 김태연 press@daily.co.kr
공감 뉴스 © 데일리라이프 & Dail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