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김준수 기자] 옛날부터 ‘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의 눈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자기기와 미디어의 발달로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전자기기가 일상화되면서 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안질환은 보통 소리 소문 없이 발병해 악화되기 때문에 안질환은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눈앞에 먼지가 떠다니거나 앞이 잘 안 보이는 경우 등 평소와는 다른 증상이 나타났더라도 일시적인 현상으로 자각하고 병원 방문을 미루기도 한다.

하지만, 수많은 안질환 중에서도 몇몇 안질환은 발병 즉시 신속하게 처치해야 실명을 막을 수 있는 응급질환인 경우가 있다. 그 중에 망막박리는 실명까지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응급질환인데, 주로 중년 이후에 발생하지만 소아청소년부터 노인까지 모든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도 있다. 망막박리란 망막이 안구 내벽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말하며, 오랜 기간 방치되어 치료시기를 놓치면 실명에 이를 수 있기에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망막이 주변부부터 박리될 경우에는 큰 증상이 없으며, 황반 부위까지 박리될 경우 시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망막박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응급 수술을 요하는 경우는 갑자기 발생한 망막열공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망막열공은 망막에 구멍이 나는 것인데, 이는 유리체의 액화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유리체는 안구 내부를 채우는 젤리처럼 투명한 구조물이며, 안구 형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눈의 노화로 인해 젤리 같은 유리체가 액화되어 물처럼 변하면서, 망막을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망막이 찢어지게 되면 망막열공이 발생한다.

망막이 찢어져 망막 전층에 결손이 생기는 것을 망막열공이라고 한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열공이 점점 커질수록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눈앞에 실이나 벌레, 점 등이 떠다니는 비문증, 눈앞에서 빛이 번쩍거리는 듯한 광시증 등이 망막열공의 대표 증상이다. 망막열공에서 더 진행되면 발병 부위가 광범위해지면서 열공성 망막박리로 진행될 수 있기에 위의 증상이 나타났거나 심해진 경우 최대한 빨리 안과 검진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망막열공의 원인은 다양하다. 고도근시의 경우 안구의 길이가 계속 길어지면서 찢어지는 경우, 아무 이유 없이 갑작스럽게 발병하는 경우, 눈에 심한 충격으로 인한 외상의 경우에서도 망막박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해당 증상이 있거나 눈에 안외상을 입는 경우, 40세 이상부터는 1년에 한 번씩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 이 밖에도 유전,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는 경우 망막질환에 더욱 취약해 남들보다 더욱 이른 나이부터 안과 검진을 받아 망막질환의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

망막열공의 치료는 열공의 크기나 박리 상태 등을 고려해 보고 진행이 필요하다. 열공의 크기가 작고 주변의 망막이 심하게 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더 이상 열공이 진행되지 않도록 레이저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망막박리는 초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 성공률이 높은 편이지만 시기를 놓치게 되면 망막박리로 이어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서울탑안과의원 채주병 원장은 “망막열공은 초기에는 작은 구멍처럼 생각할 수 있지만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망막박리로 진행되어 수술적 치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망막열공 치료 후에 일시적으로 시야가 흐려지거나 눈부심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으나 자연스럽게 회복되며 다른 부위에도 망막열공이 발병하지 않는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