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가구가 저축만으로 서울 아파트를 사려면 얼마나 걸릴까.

무려 86.4년이 걸린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서울 시내 아파트 자료 사진 / 뉴스1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의 이한진 연구위원은 3일 ‘부동산 폭등기 청년 가구 재정변화 분석’ 보고서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이한진 연구위원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와 KB부동산 통계 등을 근거로 계산했다고 밝혔다.

이한진 연구위원은 연합뉴스에 “주택가격 급등으로 자산 불평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청년세대 내 자산 불평등 확대엔 소득격차만으론 설명할 수 없는 부의 대물림이 근저에서 작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세대 기회의 평등을 향상하기 위한 무상교육 확대,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당 보고서에서 2023년 기준 가구주가 29세 이하 20대 가구의 소득은 연 소득은 평균 4123만 원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소비 지출(2136만 원)과 비소비지출(598만 원)을 뺀 ‘저축가능액’은 1389만 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11억 9957만 원·월별 평균 매매가의 연평균)를 기준으로 할 때 저축가능액 전부를 86.4년 모아야 서울 아파트 1채를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은 2014년 39.5년에서 10년 사이 두 배 이상 대폭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 10년간 2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21.02%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연령대(45.17%)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20대 가구의 저축가능액 증가율(12.65%)도 전체(64.90%)보다 낮았다. 소득에서 저축가능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10년 사이 20대 가구에서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보고서는 이처럼 최근 주택가격 급등 속에 청년세대와 다른 세대의 격차뿐 아니라 청년세대 내 자산 불평등도 심화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청년세대의 부채는 급증하고 순자산은 소폭 증가하면서 순자산 격차가 두드러졌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