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상실감이나 우울감을 크게 느낄 수 있는데 심하면 만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국내 반려동물 인구는 1500만명으로 추산된다. 4명 중 1명꼴로 반려동물과 함께한다는 의미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동시에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좀 더 잘 돌보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느끼거나 반려동물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이러한 증상을 펫로스 증후군이라고 한다.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사람들은 길면 6개월 이상 우울감을 느끼기도 한다. 자칫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고 우울감이 지속되면 만성화될 수 있다.

조철현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조 교수는 “심리 상담만으로 회복이 어려운 경우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주변인들은 슬픔이 공감 가지 않더라도 가족을 잃은 슬픔으로 인정하고 위로해 주는 것이 좋다. ‘한낱 동물일 뿐인데 왜 이렇게 슬퍼하냐’ ‘대신 다른 동물을 키워라’ 등의 조언은 삼가야 하며 가족과 같은 반려동물을 잃은 슬픔을 공감해주고 인정해 줄 필요가 있다.

조 교수는 “반려동물을 잃는 것은 가족을 잃은 것과 같은 정도의 정신적 상실감을 느낄 수 있어 슬프고 힘든 감정을 억누르려고 하지 말고 충분히 아파하고 그리워하는 애도 기간을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반려동물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자책감을 느끼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며 “유골함 등 반려동물을 추억할 수 있는 물건을 집안에 두거나 반려동물을 잃은 슬픔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