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의 진단이 우울증 발병의 이유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환자가 우울증을 동반할 위험이 일반인보다 15%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동원 공동연구팀(강세웅·김상진·임동희 안과 교수와 황성순 임상강사, 신동욱 가정의학과 교수)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 논문을 안과 분야 권위지 옵살몰로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의 진단이 우울증 발병의 독립적인 위험 요인인 것으로 증명된 것이다.

연구팀은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기준으로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나눠 평균 8.5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주는 수입, 거주지역, 활동량, 비만도, 동반질환지수 등을 모두 반영했다.

그 결과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과 비교해 우울증 발병 위험이 1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각장애를 동반할 경우 우울증 발병 위험은 23% 증가했다.

연구팀은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의 진단이 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주는 이유로 질환의 특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은 국내 노인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어 환자들이 진단 받는 것만으로도 향후 실명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클 수 있다는 것이다. 황반변성이 완치될 수 있는 병이 아닌 점도 환자의 우울감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김 교수는 “특히 습성 노화 황반변성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안구내 주사를 맞아야 하는 환자들이 정신적 고통 및 피로감이 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노화 황반변성 환자 당사자나 가족뿐 아니라 치료를 맡은 의료진 역시 우울증 발생의 위험을 인지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년 인구의 황반변성 및 우울증 유병률은 모두 10% 이상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두 질환이 만들어내는 사회경제학적 비용이 매우 크다.

신 교수는 “황반변성 환자 대다수가 고령이고 이들은 우울증에 더욱 취약하다”며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우울증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