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5일 군수공장을 시찰한 김정은.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중국이 유엔 한미일 3국이 요청한 안전보장이사회 북한인권회의 개최를 반대했다.

14일(현지시간)로이터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유엔대표부 대변인은 이날 “중국은 안보리가 그런 회의를 여는 데에 부가가치가 없다고 보며, 이에 반대할 것”고 밝혔다.

그는 “안보리의 의무는 인권이 아닌 국제 평화와 안보의 유지”라며 강조했다.

또 북한을 공식 명칭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로 지칭하며 “북한 인권에 관한 안보리 회의는 권한 밖의 일이며, 인권 문제를 정치화하며, 대립과 적대감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라고 했다.

한미일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오는 17일 열 것을 유엔 안보리에 요청했다. 성사될 경우 2017년 이후 약 6년 만에 처음으로 회의가 개최 된다. 18일에는 미국 대통령의 별장인 데이비드캠프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린다.

이날 중국이 북한인권회의 개최를 저지하기 위해 절차 투표를 요구할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안보리에서는 절차 투표와 관련해서는 거부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로이터는 다만 미국 고위 관리를 인용 절차 투표와 관련해 한미일 측은 추진에 필요한 최소 9개의 투표권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

앞서 지난 10일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인권탄압 문제는 국제 평화와 안보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됐다”며 안보리에 북한인권회의 개최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의 당시 약식 회견에는 황준국 유엔 대사와 일본의 이시카네 기미히로 대사도 자리했다. 황 대사도 지난 15일 “북한이 대화와 협상에 응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인권 문제의 안보리 공식 의제화는 북한의 정책과 행동을 바꿔나가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

안보리는 2014∼2017년 4년 연속 북한 인권 상황을 다루는 북한 인권회의를 개최해왔다. 하지만 2017년 12월 회의를 끝으로 2018년부터는 회의가 열리지 않았다. 지난 3년간은 매년 이 문제와 관련한 회의가 비공개로 진행됐다.

이번 북한인권회의 개최 여부와 관련해서는 러시아도 반대 입장을 표명할 가능성이 크다.

절차 투표에서는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은 없다. 이사국 15개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하면 안건으로 채택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