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소득 20% 30대 남성은 5명 중 1명이 미혼이고, 하위 소득 20%는 5명 중 1명이 기혼인 것으로 드러났다.

요리 중인 신혼부부 (참고 사진) / Kitreel-shutterstock.com

경제 문제 때문에 결혼 직전 파혼을 선택하는 커플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1은 결혼자금이 넉넉하지 않은 청년들의 고충 사례를 취재해 6일 보도했다.

이달 결혼을 앞둔 33세 남성 최 모 씨(경기 오산 거주)는 초등학교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예비 처가도 결혼 비용을 지원해 줄 처지는 못 되는 상황이다.

최 씨는 고등학교 동창 8명이 모인 단톡방에서 자신처럼 이달 결혼하는 친구 김 모 씨(서울 압구정 거주)의 사정을 알게 됐다.

김 씨의 부모님은 현직 초등학교 교장으로, 공관에 살면서 부동산 투자로 경기 용인시 수지구에 아파트를 갖고 있다. 예비 처가도 공기업 임원을 지낸 아버지 덕에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편이다.

최 씨는 김 씨와 집안 환경이 다르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지금까지 체감한 적은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결혼을 준비하면서 친한 친구에게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다.

나머지 6명의 친구도 두 사람의 상황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다양한 감정을 느꼈다. 한 동창은 “결혼은 행복해지려고 하는 것이 아니냐. 시작부터가 다른데 평생 비교하면서 살 자신이 없다”고 토로했다.

경제력 때문에 결혼 직전 파혼을 하는 커플도 적지 않았다.

괴로워하는 여성 (참고 사진) / aslysun-shutterstock.com

29세 여성 이 모 씨는 내년 1월에 6년 만난 남자친구와 결혼을 앞두고 파혼을 선택했다.

어머니에게 결혼 비용에 보태라며 500만원을 받았지만,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예비 시댁에 눈치를 보게 됐다. 결국 예비 남편과 합의 끝에 파혼했다.

이 씨는 “누군가는 집 한 채를 받고, 하다못해 전세자금이라도 받는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박탈감이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었다. 결혼이 새로운 출발이라는 말은 옛말에 불과하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세태는 통계로도 적나라하게 나타난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2020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자체 분석한 결과, 남성의 소득(세후 총 연간 근로소득)이 낮을수록 미혼율이 뚜렷이 높아졌다.

상위 20% 소득 30대 남성의 미혼자는 5명 중 1명꼴(21.5%)이었고, 반대로 하위 20% 소득 남성의 미혼율은 5명 중 4명꼴(77.2%)이었다.

앞으로 이런 경향은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한 설문조사에서 청년들 대다수(87.4%)가 향후 10년간 우리 사회의 불평등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