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승필 기자]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장맛비가 내린 26일 서울 성북구의 한 도로에서 폐지 줍는 노인이 폐지를 리어카에 싣고 가던 중 길가에 앉아 쉬고 있다. [사진=뉴시스]

19일 OECD가 최근 공개한 보고서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였다.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소득 빈곤율은 평균 소득이 빈곤 기준선인 ‘중위 가구 가처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의 비율이다.

특히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66∼75세의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인데 비해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OECD 가입국 중 노인의 소득 빈곤율이 40%대에 달할 정도로 높은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

한국 다음으로는 에스토니아(34.6%), 라트비아(32.2%) 등이 30%대를 기록했고, 일본(20.2%)과 미국(22.8%)는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늦더위를 식히는 가을비가 내린 13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로변에서 노인이 폐지를 리어카에 싣고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 노인은 다른 국가보다 고용률이 높은데도 가처분소득이 낮았다. 65~69세 고용률은 50.4%로 OECD 회원국 중 일본(50.9%)에 이어 2위였다. 그런데 노인 인구 가처분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가처분소득의 68.0%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OECD 평균인 88.0%보다 20%포인트 차이가 났다.

계층 간 소득도 불평등한 편에 속했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OECD 평균(0.306)보다 높았다.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이다.

OECD는 “한국의 연금 제도는 아직 미성숙하며, 고령 노인이 받는 연금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