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진년 희망의 정치’ 연속기획 초대석

한동훈 비대위원장 비서실장 전격 발탁

1975년생·서울대·변호사·노동 전문가

“총선 공천, 김영삼·박근혜 모델 따라야”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경북 안동·예천을 지역구로 둔 초선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법률·노동 전문가다. 1975년생으로 국민의힘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젊은’ 의원이다. 26일 한동훈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의 비서실장으로 발탁됐다.

그는 한 비대위원장과 서울대-사법연수원 인연으로 묶인다. 한 비대위원장은 연수원 27기, 김 의원은 35기다. 김 의원이 한 비대위원장보다 두 살 어리다. 김 의원의 비서실장 발탁은 향후 ‘한동훈 비대위’가 확 젊어질 것을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김 의원은 경북 안동에서 초중고를 나왔고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한 후 제45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법무법인 중앙법률원 대표 변호사, 한국노총 중앙법률원 부원장을 지냈다. 21대 국회에서 수석대변인을 지냈고, 지난 8월부터는 당 노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노동 전문가이기도 한 그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 안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4월 한국노총 간담회에서 남긴 “노동가치의 존중은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의 원동력입니다”라는 내용을 담은 액자가 걸려있기도 하다.

김 의원은 데일리안과 가진 ‘갑진년 희망의 정치’ 특별인터뷰에서 “22대 국회는 사회 격차 해소에 힘써야 한다”며 “격차 해소를 완벽하게 없앨 수는 없지만 격차를 줄이는 방향의 정치를 계속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한동훈 비대위’를 향해서는 “흩어져 있는 조직을 모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준석 전 대표·유승민 전 의원 등 당내에서 반대 목소리를 내는 이들을 품어야 한다는 뜻이다. 김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께서도 우리 당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인재들을 모아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고 했다.

한동훈 비대위와 곧 발족한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어떤 공천을 해야겠냐는 질문엔 “승리했을 때의 기억을 쫓아서 공천하면 될 것 같다”며 김영삼 전 대통령의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등의 영입을 언급했다. 두 사람은 당시 ‘좌파’로 분류되는 인사였지만 보수정당인 신한국당에 입당했다.

김 의원은 같은 이유로 이명박 전 대통령 당시 ‘박근혜 비대위’ 모델도 높이 평가했다. 그는 “결국 중도·외연 확장을 할 수 있는 인물을 데려오면 된다”고 했다.

70년대생 젊은 정치인으로서 향후 국회에 입성할 청년정치인들에게 어떤 조언을 하겠냐는 질문엔 청년 정치인이 아닌 기성 정치인들에게 조언하고 싶다고 받아쳤다. 김 의원은 “선배들이 청년 정치인들을 동일한 주체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나이는 극복할 수 없기에 그들을 잘 아는척 해서도 안되고 그 자체로 존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다음은 김 의원과 일문일답

Q. 한동훈 비대위 체제, 기대만큼 우려도 많이 나온다. 어떤 조언을 하겠는가.

“당이라는 것은 조직이다. 흩어져있는 조직을 모아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도 대선 직전까지 당 밖에 있었고 당시에도 창당을 한다는 이야기도 나왔지만, 결국 윤 대통령을 중심으로 우리 당이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인재들을 모아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전열을 다시 재정비하는 역할을 한 비대위원장이 해야 한다. 한 비대위원장이 새로운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준석 전 대표부터 유승민 전 의원 등과 힘을 합치는 그 역할의 중심에 섰으면 좋겠다.”

Q. 내년 총선 판세가 국민의힘에 녹록지 않다. 한동훈 비대위와 곧 발족할 공천관리위원회가 어떤 공천을 해야 하겠는가.

“내가 정치가 구력이 짧아서 많이 안다고 얘기할 수는 없지만 결국에는 승리했을 때의 기억을 쫓아서 공천하고 정치하면 될 것 같다.

대표적인 게 김영삼 대통령 때의 ‘이재오·김문수’ 이런 인물들은 그 당시로 보면 ‘극좌파’나 ‘탈(脫)제도권’에 있던 분들이었다.

이명박 대통령 때 ‘박근혜 비대위’도 비슷했다. 이번에도 개혁을 과제로 내밀고 기획할 수 있는 사람을 공천해야 한다. 여기서 개혁이라는 것은 우리 당의 영역을 넓히는 사람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중도·외연 할 수 있는 인물을 데려오면 될 것 같다.”

Q. 내년 총선에서 여야 모두 청년정치인들이 대거 국회 등원 도전을 노리고 있다. 70년대생 젊은 정치인으로서, 후배 청년정치인들에게 조언을 하나 한다면?

“청년 정치인이 왜 필요할까. 나이는 극복이 안 되기 때문이다. 우리 기성세대는 청년이 아니기에 청년 문제에 이해도가 깊다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청년 정치인이 아닌 기성 정치인들에게 조언하고 싶다. 선배들이 청년 정치인들을 동일한 주체로 받아들여야 한다. 그들을 잘 아는 척 해서도 안되고 그 자체로 존중해야한다. ‘라떼는(나때는)’ 이야기 하면 안 된다.

우리 당은 신선해져야 한다. 청년 정치인들이 많이 들어왔으면 좋겠다.”

Q. 21대 국회 점수를 준다면?

“B제로나 B마이너스. 사실 내가 평가할 수 있는 위치는 아니다. 선수고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원래 안에 있는 사람이 그 안의 전체를 보지는 못한다.

밖에서 주는 점수는 더 박할 것으로 생각하는데, B제로나 B마이너스를 준 것은 더 잘할 수 있었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담은 점수다.”

Q. 특별히 아쉬움이 남는 사건.

“일정 정도의 상식이 통하는 정치가 돼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 중간에 정권이 교체되지 않았나. 민주당이 정권 교체되기 전과 후가 완전히 다른 입장이다.

예를 들면 노동법 분야만 하더라도 정권교체 전에 충분히 자신들이 통과시킬 수 있었다. 그런 법률이 많지 않나. 방송법도 그렇고. 거대 야당이 정권 바뀐 후 입장이 완전히 바뀐 거다.

정치는 일관성과 신뢰성을 줘야 하는데, 신뢰라는 것은 일관된 입장이 쌓이고 쌓여서 만들어지는 것 아니냐.

상대 당부터 먼저 비판하는 것이 좀 그렇지만, 민주당은 거대 야당 직전에 거대 여당이었는데 입맛에 따라 정치를 한다는 부분에 대해선 국민이 높은 점수를 주진 않을 것 같다.”

Q. 22대 국회에서 우리 정치권의 문화, 이것만은 고쳐야겠다 싶은 것이 있는가.

“자신이 반대하는 법안이 합의가 될 수도 있지만, 국회법이 정한 절차만은 제발 지켜줬으면 좋겠다.

지난 21일 본회의에서 기재위 건에 세법 통과가 많지 않았나. 민주당과 정의당 상당수 의원들이 와서 자당 합의 내용에 대해서도 반대 토론을 했다. 대표적인 예가 세수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이 세수를 늘려서 재정을 확충하고 약자를 보호해야한다는 내용이다. 물론 이것도 하나의 담론이 될 수 있고, 내용을 비판할 생각은 없다.

그러나 절차에 대한 부분이 있지 않는가. 예를 들어 안건조정위원회 등은 원래 소수를 위한, 약자를 위한 절차다. 민주당은 예전 ‘검수완박’ 당시 일방적으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 때 정의당 일부 의원들도 동조했다.

그런데 이번 본회의에서 민주당·정의당 의원들이 절차를 무시하고 소수의견을 고려치 않는 합의안이라고 성토를 하더라. 소수의견을 고려하지 않는 사람들은 바로 그들이었다.”

김형동 의원실에 걸린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4월 15일 한국노총 간담회에서 남긴 김형동 의원실에 걸린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4월 15일 한국노총 간담회에서 남긴 “노동가치의 존중은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의 원동력 입니다” 방명록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Q. 지난 8월 당 노동위원장에 임명됐다. 총선을 앞두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노동 공약은?

“대선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말씀하신 우리 공약이 워낙 좋다. 그걸 재확인하거나 구체화하는 과정이 아마 총선 공약이 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대통령께서는 노동가치의 존중은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하고 있고, 노동 약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또 총선은 큰 어젠다도 있지만 지역 어젠다도 꽤 있다. 지역마다 맞춤형 공약도 필요하다.”

Q. 지역구인 안동·예천에 맞춤형 노동 공약은?

“50대를 전후해서 중간에 일을 그만두신 분들이 다시 어떻게 새로운 일자리를 찾으실 수 있게 하느냐가 관건이다. 우리 지역 같은 경우는 중장년층이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꾸준하게 노동부에 요구했고, 국회 국정감사나 현안질의할 때도 계속 얘기를 했다.

대표적인 것이 노사발전재단의 중장년 일자리 지원센터다. 특히 경북 북부가 가장 소외돼 있는데 꾸준하게 요구를 해왔다.

또 안동이 복지의 도시다. 내륙에 있는 나환자촌 중에 가장 큰 곳이 안동이었다. 이제 거의 사라졌지만, 복지촌 등이 아직 굉장히 많다. 복지촌에 거주하는 분들이 정부에서 단순 케어를 받는 게 아니라, 자활근로를 통해 스스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드는 것에 큰 관심이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다.”

Q. 재선에 성공한다면, 22대 국회에서 하고 싶은 일은?

“사회 격차 해소다. 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해소. 또한 우리 사회에 엄연하게 계층이 존재하지 않는가. 흔히 말하는 이너 서클에 들어 있는 상위 노동자들과 그 밖에 있는 최저임금 노동자간의 격차해소.

이런 것들이 우리 사회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가장 큰 요소가 아닌가 싶다. 동질감이 아니고 이질감이 생기면 같이 가기가 어렵다. 격차 해소를 완벽하게 없앨 수는 없지만 격차를 줄이는 방향의 정치를 계속했으면 한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